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Stock 증권

[한계기업 진단] 지오릿에너지 ①대규모 적자·자본잠식…자금납입 원활할까

URL복사

Monday, December 16, 2024, 16:12:00

인수 주체 대주주 행방 묘연..작년 단기차입금만 900억대
150억 넣겠다는 신생법인..김재섭 대표와 제넥셀세인 커넥션

 

인더뉴스 권용희 기자ㅣ코스닥 상장사 지오릿에너지의 M&A(인수합병) 과정에 이상 기류가 흐르고 있다. 인수 주체로 등장한 상장사의 대주주가 서류상으로만 존재하는 것으로 보이고, 이 상장사는 2020년부터 매년 1000억원 안팎의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설립된 지 채 한 달도 안 된 신생법인도 M&A에 동원됐다. 대규모 자금을 넣겠다고 밝힌 이 업체는 행방이 묘연하다.

 

인수 주체 대주주 '행방불명'

 

15일 금융감독원 및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오릿에너지는 기존 지분(구주) 매각 등을 통한 대주주 변경을 예고했다. 기존 대주주가 보유 중인 구주 2734만여주를 약 410억원에 매각하는 딜을 진행 중이다.

 

매수 주체는 상장사 에이프로젠과 에이프로젠의 대주주인 지베이스다. 각각 234억원, 135억원 가량의 잔금을 다음달 9일에 치르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또한 에이프로젠은 지오릿에너지가 예고한 총 341억원 가량의 유상증자와 149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 대상자에도 등장했다. 구주 대금까지 포함하면 에이프로젠은 이번 M&A에 총 750억원 가량을 투입해야 한다.

 

하지만 에이프로젠은 2020년부터 매년 1000억원 안팎의 적자를 기록하는 등 극심한 실적 부진에 빠져있다. 에이프로젠의 지난해 매출액과 순손실은 각각 1506억원, 973억원을 기록했다. 올해 3분기 누적 매출액과 순손실은 각각 1105억원, 590억원이다.

 

 

에이프로젠 대주주 지베이스도 사정은 비슷하다. 지난해 매출은 전무했고, 영업손실과 순손실은 각각 216억원, 191억원을 기록했다. 재작년 영업손실과 순손실은 각각 417억원, 116억원이다. 아울러 지난해 말 기준 자본총계가 마이너스인 자본잠식 상태에 접어들었다.

 

또한 지베이스의 지난해 말 기준 1년 이내에 갚아야 하는 단기차입금은 약 957억원으로 확인됐다. 매출이 없는 상태에서 사실상 이자 내는 데 급급한 상태다. 이에 지베이스의 잔금 납입 가능성에 의문부호가 붙는다.

 

지베이스는 지난 2014년 자본금 20억원에 설립된 법인으로 주요 인물에 김재섭, 신현국, 강선주 씨 등이 이름을 올리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김재섭 에이프로젠 대표가 지분 100%를 보유 중으로 사실상 김 대표의 개인 회사다.

 

지베이스는 경영에 책임있는 상장사 대주주임에도 실체가 불분명하다. 이 법인은 경기도 성남시 소재 에이프로젠 주소지에 이름만 올려놓았을 뿐 영업활동의 모습을 발견할 수 없었다. 건물 지하 1층에 주소를 등록해놨지만 업체 간판 등 어떠한 흔적도 확인할 수 없는 상황. 이 건물 다른 층에서 만난 에이프로젠 관계자는 "드릴 말씀이 없다"며 답변을 피했다.

 

 

150억 넣겠다는 법인의 정체는

 

150억원 유증 대상자에 이름을 올린 엔피다즈라는 법인도 오리무중이다. 엔피다즈는 최근(지난달 20일) 자본금 5000만원에 설립됐다. 만들어진 지 한 달도 안 된 법인이 대규모 자금을 넣겠다고 예고한 것. 주요 인물에는 정종경 씨가 이름을 올리고 있다. 당초 지베이스 핵심 인물인 강선주 씨가 이 법인 대표에 등재됐지만, 일주일 만에 사임했다.

 

정 씨는 과거 제넥셀세인 등에서 김재섭 에이프로젠 대표와 함께 활동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제넥셀세인을 진두지휘했던 김 대표는 지난 2009년 회사를 매각했지만, 회사는 이듬해 감사의견 거절 등을 이유로 상장폐지됐다. 그는 당시 바이오신약 개발을 자신했지만 결국 무위로 돌아갔다.

 

 

아울러 엔피다즈의 경기도 성남시 소재 등록 주소지를 직접 방문했지만 영업활동 흔적을 발견할 수 없었다. 해당 주소지에서 만난 업체 관계자는 "엔피다즈는 처음 들어본다"고 말했다.

 

히트펌프에서 뇌질환 치료제로?

 

에이프로젠은 지오릿에너지 인수를 통해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전문 기업으로 거듭나겠다고 공언한 상태다. 이에 다음달 10일 임시주주총회에서 '엡트레이지 뉴로사이언스'로 사명을 바꾸는 안건을 의결하겠다고도 밝혔다.

 

하지만 지오릿에너지는 뇌질환 치료와는 무관한 히트펌프 등 지열 에너지 관련업을 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실제로 지오릿에너지의 올해 3분기 누적 매출액의 97%는 지열 냉난방 시스템 등에서 발생했다. 뒤이어 기타 부문과 연료전지 부문이 각각 2%, 1% 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김재섭 대표가 "에이프로젠과 확실한 시너지를 내는 퇴행성 뇌질환 혁신 기업으로 키우고 조만간 가시적인 성과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자신한 것과 달리, 기존 사업과의 시너지를 기대하기 어려운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는 이유다.

 

한편 지오릿에너지는 2020년부터 실적이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지난해 연결 매출액과 순손실은 각각 204억원, 50억원을 기록했다. 올해 3분기 누적 매출액은 145억원이고, 순손실은 68억원으로 이미 지난해 연간 순손실 규모를 넘어섰다. 이와 관련해 지오릿에너지 입장을 듣기 위해 수차례 통화를 시도했지만 연결이 되지 않았다. 또한 에이프로젠 측에 관련 질의를 했지만 답변을 받을 수 없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권용희 기자 brightman@inthenews.co.kr

배너

기존 제품도 괜찮은데…설탕·칼로리 ‘제로’ 딜레마 빠진 식품업계

기존 제품도 괜찮은데…설탕·칼로리 ‘제로’ 딜레마 빠진 식품업계

2024.12.13 09:05:24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즐겁게 건강을 관리하는 '헬시 플래저' 트렌드가 확산하면서 식품기업들이 당이나 칼로리가 없는 '제로' 제품을 경쟁적으로 출시하고 있습니다. 탄산음료, 주류 위주였던 제로 카테고리는 요거트, 아이스크림, 숙취해소제까지 넓어졌고 제로 통조림까지 등장했습니다. 이제는 주요 식음료 제품에 제로가 붙지 않은 제품을 찾기 어려울 정도입니다. 설탕 대신 대체 감미료만 넣으면 뭐든 제로 식품으로 만들 수 있을 것 같지만 그렇지도 않습니다. 설탕의 다양한 역할을 보완하기 위해 수년간 연구 개발을 하기도 하고 같은 주스여도 세부 유형에 따라 대체가 불가능하기도 합니다. 오리지널 제품의 매출 감소도 일정 부분 감수해야 합니다. 그럼에도 제로 제품의 성장성은 기업들을 시장에 끌어들이고 있습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제로 제품의 카테고리가 넓어지고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당뇨병, 과체중 및 비만 발병률이 높아지는 추세에 코로나19를 지나며 제로 설탕 제품 수요가 늘었습니다. 글로벌 제로 설탕 식음료 시장 규모는 2022년 179억2000만달러에서 2027년까지 연평균 4.0%씩 성장할 것으로 추측됩니다. 탄산음료는 제로 제품 출시가 가장 활발한 분야 중 하나입니다. 과거 제로 탄산은 일반 제품과 비교해 맛이 없다는 인식이 주를 이뤘지만 식품업계의 대체 감미료 기술이 발달하면서 맛이 크게 개선됐습니다. 제로 식품이 기존 제품과 유사한 맛을 내기 시작하면서 제로 시장에 진입하는 문턱이 낮아졌습니다. 롯데칠성음료는 2021년 2월 펩시제로 슈거, 칠성사이다 제로 출시를 시작으로 밀키스 제로, 펩시 제로슈거 제로카페인 등 제로 라인업을 확장해 왔습니다. 제로탄산 매출은 2021년 890억원에서 지난해 2730억원으로 늘었고 올해는 3000억원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전체 탄산음료에서 제로 비중도 2021년 41.8%에서 올해는 50%까지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LG생활건강은 2022년 코카콜라 매출이 전년 대비 6% 증가할 때 제로 매출은 29% 뛰었습니다. 내수 부진에 따른 음료 소비 둔화에도 코카콜라 제로는 지난해와 올해 매출이 호조세입니다. 전체 음료 매출에서 코카콜라 매출이 지난해 1분기 48%에서 올해 3분기 44%로 감소할 때 제로 코카콜라 비중은 10%에서 13%로 늘었습니다. 동아오츠카의 나랑드사이드 제로는 2010년 출시된 국내 최초 제로 칼로리 사이다 제품입니다. 제로 탄산음료 열풍이 불기 전부터 무설탕 음료로 입소문이 나기 시작하면서 헬스 트레이너와 운동 유튜버 등 사이에서 수요가 있었습니다. 나랑드사이다 제로 매출은 2022년 전년 대비 42% 증가했고 지난해도 11% 신장하며 두 자릿수 성장세를 유지했습니다. 장수 식음료 브랜드들의 '제로 변신'은 때때로 신선함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일화 맥콜 제로는 지난 10월 기준 누적판매량 1865만캔을 넘어섰고 팔도가 올해 3월 출시한 비락식혜 제로는 50일 만에 누적 판매량 300만개를 돌파했습니다. 업계에 따르면 국내 제로 탄산음료 시장 규모는 2020년 924억원에서 올해 약 3800억원 수준까지 커질 전망입니다. 주류업계에서는 롯데칠성음료가 2022년 처음처럼 새로를 출시한 이후 제로 칼로리 주류가 유행처럼 번져나갔습니다. 새로는 출시 22개월 만인 지난 7월 누적 판매량 4억병을 넘어섰습니다. 하이트진로는 2019년부터 진로 제로슈거 소주를 판매 중입니다. 골든블루 인터내셔널은 최근 싱글몰트 하이볼 RTD 제품인 카발란 드라이 하이볼 제로슈거를 내놨습니다. 제과 분야에서는 롯데웰푸드가 가장 적극적입니다. 2022년 ‘제로’ 브랜드 5종을 론칭한 이후 지난해 10종, 올해 18종까지 라인업을 확대했습니다. 올해 제로 칼로리 아이스크림 3종(죠스바·스크류바·수박바 제로)을 선보였고 업계 최초로 '제로 초코파이'마저 선보였습니다. 지난해 제로 브랜드로만 매출은 400억원을 거뒀고 올해는 500억원으로 목표로 올려잡았습니다. 남양유업의 '프렌치카페 스테비아 카페믹스'와 디카페인 제품의 누적판매량은 7500만봉을 넘어섰습니다. 빙그레 역시 요플레 제로 드링크 무당 플레인 등 제류 슈거 제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삼양사가 연초 출시한 상쾌한부스터 제로는 설탕 대신 알룰로스를 사용해 열량 부담을 없앴습니다. 올해 5월에는 동원에프앤비가 저스트 노 슈가 황도 등을 출시하며 ‘제로 통조림’ 시대를 열기도 했습니다. 대체 감미료는 크게 ▲인공감미료(수크랄로스·아스파탐·아세설팜칼륨) ▲천연감미료(스테비아) ▲천연당(자일로스·알룰로스) ▲당알코올(말티톨·에리스리톨) 등으로 구분됩니다. 식품업계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대체당은 알룰로스로 설탕 대비 약 70%의 단맛을 내지만 열랑은 거의 없습니다. 다른 대체당 대비 안전성이 높다고 알려졌습니다. 탄산음료 시장과 비교하면 주스 시장의 제로 시도는 손에 꼽힙니다. 건강 지향 트렌드에 국내 주스 시장은 하향세를 겪고 있지만 카테고리에 따라 상반된 분위기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같은 주스처럼 보여도 웅진식품의 '자연은 더말린', 매일유업 '피크닉' 등 일부 브랜드는 과채과즙이 10% 미만인 혼합음료로 분류됩니다. 혼합음료는 대체 감미료로 설탕을 대신하기 수월한 편입니다. 웅진식품의 제로 칼로리 브랜드 ‘자연은 더말린’은 말린 과일을 추출해 건조한 과일 음료로 출시 5개월 만에 1000만병 이상 팔렸습니다. 기존 야채주스 수요와 더불어 더말린 인기에 과일·야채주스 매출은 2021년 874억원에서 지난해 1079억원으로 증가했습니다. 에리스리톨이 들어간 매일유업의 ‘피크닉 제로’는 출시 18일 만에 100만팩이 판매됐습니다. 반면 롯데칠성음료의 주스 브랜드인 델몬트 제품군은 과채과즙이 10~95%인 과채음료에 속합니다. 과채음료부터는 과일에서 유래하는 당 성분이 높아 '제로화'가 쉽지 않습니다. 롯데칠성 주스 매출(내수)은 2021년 1533억원에서 지난해 1381억원으로 쪼그라들었습니다. 올해 6월 오렌지 등 과일 농축액 수입단가 상승에 델몬트 주스 가격을 100원 인상하기도 했습니다. 롯데칠성음료 관계자는 "식품 유형에서 일반 주스라고 불리는 제품은 착즙을 하든 어떻든 제로 슈거·제로 칼로리가 될 수 없다. 그렇게 만들려면 과일 향만 넣어야 하는데 그건 주스가 아니게 된다"며 "주스는 과일에서 유래한 당이 있기에 제로로 만들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롯데칠성음료는 델몬트 제품 중 스테비아를 넣은 토마토 주스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제로 제품의 활용도가 넓어지고 있지만 구현할 수 있는 제로 제품은 아직 한정적이라는 게 업계의 의견입니다. 음료와 달리 파이, 아이스크림 등은 제품의 고유 형태가 있고 설탕이 외형을 유지해주는 역할을 하는데 그 부분까지 대체감미료가 대신하려면 연구가 길어질 수밖에 없다는 겁니다. 제로 초코파이에 들어가는 무설탕 마시멜로는 개발까지 2년이 걸렸습니다. 롯데웰푸드 관계자는 "제로 아이스크림의 경우 유통 과정이나 먹을 때 식감이나 맛은 구현하지만 형태까지 일정하게 유지해야 하는 부분이 어려웠다. 예로 설탕 비율 10%를 대체 감미료로 채운다고 끝나는 게 아니다"며 "미묘한 배합비를 테스트하고 관능·기관 검사 등을 거쳐야 한다. 제로 아이스크림은 거의 7개월 정도 배합 연구를 했다"고 말했습니다. 제로 출시 열풍은 기존 스테디셀러 제품 라인업을 확장하고 소비자에게 브랜드를 새롭게 환기시키는 차원에서 긍정적일 수 있습니다. 다만 기존 제품 매출을 뺏어오는 카니발리제이션(자기잠식)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대체 당을 둘러싼 안전성 논란도 전 세계적으로 찬반이 팽팽합니다. 롯데웰푸드 관계자는 "스크류바 제로 출시로 기존 스크류바 매출이 조금 떨어진 게 사실이지만 그런 부분보다는 회사가 지향하는 '헬스 앤 웰니스’에 맞춰 꾸준히 연구하고 있다"며 "기존에 당 때문에 초코파이를 안 드셨던 분들이 제로를 선택할 수 있는 것처럼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게 우선"이라고 말했습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