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21일 대만 타이베이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미디어 Q&A' 행사에서 미국의 수출 통제가 실패한 정책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이날 미국의 수출 규제에 따른 영향과 정책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미국이 수출 통제 실패로 손해를 봤다고 답하며 "팩트들이 그것을 말해주고 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황 CEO는 "우리는 수출 규제로 H20 제품을 중국에 출하할 수 없게 됐고 수십억달러 규모의 재고를 전액 손실 처리해야 했다"라며 "이는 일부 반도체 회사의 매출 전체에 맞먹는 규모"라고 설명했습니다.
지난해 엔비디아는 중국에서 회사 전체 매출의 14%에 해당하는 약 170억달러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엔비디아는 그동안 미국 정부의 수출 통제를 피하기 위해 중국 시장에 맞춘 저사양 AI 칩인 'H20'을 설계 및 판매해 왔으나 지난달 15일 트럼프 정부가 H20의 수출도 제한하며 중국으로의 수출이 막힌 상황입니다.
황 CEO는 "4년 전 바이든 행정부가 시작될 무렵, 중국 AI 칩 시장의 95%를 점유하고 있었으나 지금은 50%로 줄어들었다"라며 "게다가 우리는 사양이 낮은 제품만 팔 수 있었기 때문에 평균판매단가(ASP)도 떨어졌고 그만큼 수익도 많이 잃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날 황 CEO가 미국의 수출 정책이 잘못되었다고 강하게 지적한 것은 대중국 수출 규제로 엔비디아의 손실이 막심하며 장기적으로는 중국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잃을 수 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그는 "중국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컴퓨팅 시장이며 제 예상으로는 내년 AI 시장 전체가 약 500억달러 규모일 것"이라며 "이는 엔비디아 입장에서도 엄청난 기회이며 놓치기 아깝다"라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황 CEO는 엔비디아가 H20 칩의 낮은 버전을 중국에 출시할 것이라는 일각의 추측에 대해서도 일축했습니다.
그는 "현재의 H20이나 호퍼(Hopper) 아키텍처는 더 이상 추가로 성능을 낮출 방법이 없다"라며 "그렇게 되면 시장에서 쓸모가 없어진다"라고 답했습니다.
황 CEO는 오히려 중국 시장의 규제 완화가 미국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역설했습니다. 그러면서도 지금의 규제 정책은 중국의 기술 개발을 부추기는 등 위협이 될 수 있다고 함께 강조했습니다.
황 CEO는 "(중국 시장을 통해) 미국은 세수도 늘리고 일자리도 만들고 산업도 유지할 수 있다"며 "우리는 미국이 'AI 확산'(AI diffusion)의 속도를 최대한 끌어올려야 한다고 믿는다. 그렇지 않으면 경쟁자(중국)가 따라올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중국 현지 회사는 물론 매우 재능 있고 매우 결단력이 있으며 오히려 이번 수출 통제로 인해 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는 정신과 에너지를 충전하게 된 계기가 될 것이다"라며 "(그들은) 이런 열정을 지원할 풍부한 정부의 자원도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잊지 말아야 할 점은 세계에서 가장 크고 강력한 기술 기업 중 하나인 화웨이가 빠르게 혁신하고 있다는 것"이라며 "그들은 우리가 중국에 돌아오지 않길 바란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이와 함께 황 CEO는 미국 정부가 중국에서 경쟁할 기회를 줄 것을 요청했다.
그는 "지금의 정책 방향은 잘못됐다고 생각한다"라며 "미국 정부가 이 금지가 효과적이지 않다는 점을 인식하고 현장에서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일, 즉 '현장의 진실'이 정책결정자들에게 영향을 줘 우리가 다시 중국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도록 정책이 바뀌길 바란다"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미국 정부도 미국 기술이 중국 시장에서 서비스하고 참여하며 경쟁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라며 "전 세계 AI 연구자의 50%가 중국에 있는데 그들이 아키텍처 위에서 개발할 때 적어도 미국 기술 위에서 개발하는 게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어 "선택지는 아주 제한적이고 우리는 이미 제품의 성능을 극단적으로 낮춘 상태"라며 "지금 당장 좋은 해결책은 없지만 계속 고민해 보겠다"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