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김현우 기자ㅣ “제가 인생에서 10년에 한 번씩은 꼭 큰 사고를 쳐왔습니다. 보험설계사가 되기로 마음 먹은 때가 수의사 일 시작하고 10년쯤 됐을 때인데요. 때 맞춰 대형 사고를 치게 됐습니다. 하하.”
한 가지 일도 제대로 해내기 어려운 시대에 무려 3가지 일을 병행하고 있는 사람이 있다. 생명보험사에서 보험설계사로 10여년 간 일하고 있는 박대곤 FC가 주인공이다. 그는 기자와 만나 명함 3장을 건냈다. 각각의 명함에는 수의사·보험설계사·스타트업 CEO라고 적혀 있었다.
박 FC는 그 전에도 계속 일을 벌여 왔다. 대표적인 게 동물 인터넷 카페인데, 컴퓨터가 흔하지 않던 시대에 그는 인터넷 카페를 운영해 다른 수의사나 반려동물 보호자들과 소통하며 정보를 교류했다. 한때는 동물용품 인터넷 쇼핑몰도 두 개나 운영했다. 힘들지 않냐는 질문에 그는 “태생이 가만히 있질 못한다”며 웃으며 답했다.
◇ 잘 나가던 수의사, 보험 영업에 뛰어든 이유는?
“정말 바쁠 때는 동물병원을 운영하면서 동물용품 쇼핑몰 2개와 수의학 관련 아카데미 3개를 동시에 운영했어요. 25명이 넘는 직원들에게 월급을 주고 있었으니 말 다했죠. 그 때는 시간이 어떻게 흘러가는지도 몰랐어요.”
그렇게 열심히 달리던 그에게 갑작스런 회의감이 찾아왔다. 동물병원에서 10년정도 일하다보니 우물 속에 갇혀있는 것 같았기 때문이다. 그가 일을 하며 만날 수 있는 사람은 병원관계자·반려동물 보호자·동료 수의사 정도였다.
“수의사는 개인 동물병원에서 거의 모든 일을 관장해요. 일종의 왕이죠. 하지만 우물 속 개구리 왕일 뿐이라는 생각이 제 머릿속을 떠나지 않았습니다.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면서 더 넓은 세상을 경험해보고 싶었어요.”
불혹(不惑)을 바라보는 나이에 지금까지 잘 해오던 일을 그만두고 전업을 결정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그렇게 한참을 방황하던 중에 그는 우연히 ‘보험설계사’라는 직업을 알게 됐다.
“친구와 술 한 잔 하면서 더 이상 동물병원에 갇혀있기도 싫고,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면서 더 넓은 세상을 배울 수 있는 일을 하고 싶다고 토로했죠. 그랬더니 친구가 대뜸 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직업이 있다며 ‘보험설계사’를 추천해 줬습니다.”
동물병원을 나와 신입 설계사가 됐을 때 나이가 딱 ‘40’이었다. 늦게 시작한 만큼 독하게 마음 먹었지만, 보험영업은 녹록지 않았다. 특히, 처음 3년간은 정말 힘들었다고. 낯선 일에 대한 적응뿐만 아니라, 내 앞에 있는 고객을 대하는 자세부터 달라져야 했기 때문이다.
“솔직히 수의사로 일할 때는 제게 치료를 받으러 온 상황이기 때문에 고객에게 아쉬워 할 입장은 아니었어요. 하지만 보험설계사 일을 하다보면, 제가 부탁해야 할 상황들이 생겨요. 을(乙)의 위치에서 일을 할 때가 많았지요. 심한 경우에는 병, 정까지 내려갈 때도 많았습니다.”
산전수전을 겪은 그였지만, 결국에는 생보업계에서 고소득 설계사를 의미하는 ‘MDRT(Million Dollar Round Table)’에도 이름을 올렸다. 또, 평균 근속년수가 짧은 이 바닥에서 10년 가까이 일을 계속하고 있다. 그는 그 비결로 “과잉 진료를 하지 않으면 된다”는 교과서적인(?) 답을 내놓았다.
“과잉진료는 실수인 것을 알면서 하는 행동이에요. 고객에게 나쁜 계약은 과잉진료와 같습니다. 고객들에게 꼭 필요한 보험이 아닌 것을 다 알면서 계약하지요. 저는 보험설계사로 일하면서 고객들에게 과잉진료만큼은 절대 안 하려고 노력합니다.(웃음)”
◇ 20년을 앞서나갔던 유투브 크리에이터

10년 가까이 보험설계사로 일해온 그는 운명처럼 최근에 또 새로운 일을 벌였다. 그의 세 번째 명함인 ‘펫칼리지’ 대표로서 말이다. 펫칼리지는 반려동물 보호자를 위한 교육과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이다.
그는 현재 전문가의 현장강의, 반려동물 질병에 대한 설명, 간단한 치료·관리방법 등의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해 유투브 등의 플랫폼에 공유하고 있다. 그런데, 그는 “사실 20년 전부터 이 일을 해왔다”고 기자에게 귀띔했다.
“20년 전에 ‘오늘의 동영상’이라는 플랫폼이 있었어요. 쉽게 말해 ‘20년 전 유투브’죠. 제가 요즘 펫칼리지에서 업로드하는 영상 콘텐츠들은 20년 전에 ‘오늘의 동영상’에 올렸던 콘텐츠들과 비슷합니다.”
20년을 앞서나간 아이디어가 당시에 돈벌이가 됐었냐고 물었다. 그는 “맞아요. 20년은 앞서나갔다고 볼 수 있죠. 그런데 너무 앞서 나가서 당시에는 이걸로 돈을 많이 벌진 못했어요”라고 답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수의사로서 한마디 하고 싶다며, 반려동물이 아프지 않으려면 보호자들이 충분히 공부해야 한다고 이야기했다.
“수의사들이 키우는 강아지와 일반인이 키우는 강아지 중에 누가 더 많이 아프고 병원에 자주 올 것 같아요? 당연히 수의사들이 키우는 강아지가 병원에 올 일이 압도적으로 적습니다. 저는 펫칼리지를 통해 보호자들이 공부하고, 그로 인해 반려동물들의 삶이 더 나아지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