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 CJ프레시웨이가 음식점 위생등급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CJ프레시웨이(대표이사 문종석)는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로부터 음식점 위생등급제 인증을 받은 점포가 100곳을 돌파했다고 20일 밝혔다.

현재 위탁 운영 중인 음식점 위생등급제 인증 점포는 총 103곳이다. 이는 단체급식 사업장을 비롯해 골프장과 휴게소 등 식음료 시설을 위탁 운영하는 동종업계 내에서 가장 많은 규모다.
음식점 위생등급제는 지난 2017년 5월 식약처에서 도입한 제도로 음식점 간 자율 경쟁을 유도해 전반적인 위생 수준을 향상하고 식중독 등의 식품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시행됐다. 세부 등급은 점포의 위생 수준에 따라 ‘매우 우수(★★★), ‘우수(★★)’, ‘좋음(★)’ 등 총 3단계로 구분된다.
CJ프레시웨이는 제도 시행에 발맞춰 소비자들이 믿고 즐길 수 있는 먹거리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식약처 산하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HACCP)과 손잡고 위생등급제 확산에 힘써왔다.
먼저, 해당 제도가 처음 시행된 2017년에는 골프장 등 레저사업부에서 운영 중인 식음료 시설을 중심으로 위생 등급 지정을 추진했다. 그 결과 베어즈베스트CC, 대구과학관 등을 포함해 지난 한 해에만 총 16곳에 이르는 점포가 ‘매우 우수’ 등급을 획득했다.
또, 올해부터는 기존에 집중해 온 경로뿐만 아니라 리조트와 휴게소 등 다목적 이용시설로 영역을 확대했다. 제주신화월드, 파크하비오와 함안휴게소 등을 포함해 87곳에 달하는 점포가 추가로 '매우 우수(48개)', '우수(39개)' 위생 등급을 지정받았다.
최근엔 지난 6월에 문을 연 CJ프레시웨이의 스마트 급식시설 ‘그린테리아 셀렉션’이 ‘매우 우수’ 등급을 지정받아 업계 최고 수준의 위생안전 관리 역량을 다시 한 번 인정받기도 했다.
CJ프레시웨이 위생안전팀 관계자는 "앞으로도 위생안전 사각지대를 줄이는 데 관련 역량을 집중해 더욱 안심할 수 있는 먹거리 문화를 조성하는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한편, CJ프레시웨이는 현재 운영하고 있는 식음료 시설에 대한 등급제 지정을 노력하고 있다. 여기에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점 등을 운영하는 가맹 사업자들을 대상으로 한 음식점 위생등급제 인증 컨설팅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