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인더뉴스 이수정 기자] “제주 영어교육도시는 기본적인 교육 인프라 수요가 있기 때문에 가격 변동이 크게 일어나진 않습니다. 하지만 제주 부동산 경기가 침체되면서 투자수요가 크게 줄어든 탓에, 요즘은 한 달에 한 건 계약하는 것도 힘듭니다.” (제주 영어교육도시 주변 A공인중개사 대표)
자연경관을 보호하기 위해 고도제한을 두는 제주도는 15층정도 되는 아파트가 주를 이룬다. 그래서인지 아파트가 늘어서 있는 도시마저 고즈넉하다. 조용하던 제주 부동산 시장에 지난 몇 년간 광풍이 불었다.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중국인 투자와 제주살이 열풍으로 인한 인구유입이 늘면서 제주 아파트값은 집값은 한 해에 10%내외로 올랐다.
하지만, 2017년부터 제주도 부동산은 가파른 오름세를 멈추고 침체기에 들어섰다. 광풍이 지나가고 난 제주의 부동산 시장은 한산했다. 거리에는 아직 주인을 찾지 못 한 물건들의 분양광고가 바람에 퍼덕거렸다.
상승폭이 확연히 줄어든 후에도 교육 인프라 덕분에 몸값을 올리던 영어교육도시도 거래절벽을 피하진 못 한 모양새였다. 올해 공시지가상승률 1위를 기록한 영어교육도시(대정읍 구억리·38.75%) 주변은 집값은 30평대 기준 7억~8억원으로 여전히 제주 평균보다 높다.
이 곳에서 부동산 거래가 잘 된다는 말은 듣기 힘들었다. 영어교육도시에 있는 H공인중개사 실장은 “학생들이 졸업을 해야 이동을 하는 곳이기 때문에 크게 시세가 오르거나 떨어지는 일은 없다”면서도 “5월쯤 입학 시즌이 돼야 거래가 좀 될까, 요즘은 많지 않다”고 말했다.
제주도의 부동산 전반적인 상황은 좋지 않았다. 한 공인중개사는 6개월 동안 한 건도 거래가 없었다며 울상을 지었다. 그는 부동산 시장 변화가 거의 없던 제주에 갑자기 많은 인구가 유입되면서 투자수요가 급증했지만, 이후 억제정책 등으로 거래가 끊겼다 귀뜸했다.
제주 연수로에 위치한 B부동산 대표는 “2014년부터 2~3년 동안은 주택이든 땅이든 매수 문의가 넘쳤는데 이제는 언제 그랬냐 싶을 정도로 조용하다”며 “전국적인 규제 영향도 있지만, 지차체 측에서 토지분할 제한, 농지기능관리 강화 카드를 꺼내면서 거래가 크게 감소했다”고 말했다.
제주도 J부동산 대표는 “제주 집값, 땅값이 급등하기 시작하자 건설사들이 타운하우스·레저시설·오피스텔 등을 급속도로 짓기 시작했다”면서 “당시 저희들이 보기엔 좋은 입지가 아닌데도 짓더니, 제주 부동산 시장 침체기가 시작되자 설계까지 해논 상태에서 중단된 곳이 많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제주도 미분양 물량은 지난 2016년 12월 271가구에서 2017년 말 1200가구에 달했다. 제주 부동산 관계자들에 따르면 이같은 미분양 물량은 도시 외곽지역에 주로 포진해 있다.
오치현 한국공인중개사협회 제주특별자치도지부 부동산연구회 회장은 “미분양 한 가구당 3억원씩으로 쳐도 3600억이라는 금액이 잠기는 셈”이라며 “상황이 이러니 건설사들도 제주도에 들어오길 망설이고 있다”고 말했다.
제주도의 부촌(富村)이라 불리는 제주시 연동 주변도 고요하긴 마찬가지. 이 곳은 생활인프라 구축이 잘 돼있어 영어교육도시에 자녀를 보내려는 수요자들의 매수 문의가 많았던 곳이다.
제주시 연동에 있는 C부동산 소장은 “1년 전까지는 제주도 시장이 활황인 데다 영어교육도시라는 호재 덕분에 제주시에서 주변 인프라가 잘 갖춰진 연동지역 문의도 덩달아 활발했다”며 “하지만 지금은 전국적 추세 때문인지 발길이 뚝 끊겼다”고 말했다.
D부동산 대표 역시 “지금은 침체 국면이라 매매수요가 거의 없다”면서 “수요자들은 가격이 더 떨어지길 기다리며 관망세로 돌아섰고, 돈이 급한 사람들은 3000만~4000만원씩(20평대 기준) 낮은 가격에 매물을 내놓기도 한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제주도에 있는 공인중개사 수도 확연히 줄었다. 한국공인중개사협회에 따르면 폐업을 신고한 제주도 공인중개사 사무소는 2016년 119곳에서 2017년 167곳, 2018년 190곳으로 해마다 늘었다. 신규 개업을 신고한 사무소는 2016년 344곳에서 2018년 296곳이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장기적으로는 발전하겠지만 한 동안 제주 부동산 시장 숨고르기는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함 랩장은 “2014년부터 2016년까지 큰 상승률과 더불어 신규 제주공항 등지에서 뒤늦게 가격이 상승된 건 사실”이라면서도 “제주도 자체 규제들과 가격 상승 피로감이 더해진 상황에서 수익형 부동산 시장 역시 포화상태이기 때문에 당분간 제주 시장 침체는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