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이수정 기자] 주택시장 봄 성수기가 다가오고 있지만 특수효과를 기대하긴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다만 정부가 지정한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지역은 국지적 개선효과가 장기적으로 형성되면서 지역간 양극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6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3월 전국 HBSI 전망치는 69.2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대비 1.5p 하락 한 수치다.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매월 조사하는 HBSI(Housing Business Survey Index)는 공급자 입장에서 주택사업 경기를 종합 판단하는 지표다. 100을 기준으로 낮으면 주택경기가 부정적, 반대는 긍정적이라는 뜻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세종시(84.6)와 대구(83.3)는 HBSI지수 80선을 넘기면서 상대적으로 양호한 전망치를 보였다. 그러나 대구는 지난달(94.8)에 비해 11.5p 하락한 수치로 주택시장 기대감이 많이 떨어졌다.
반면 부산(77.1)은 3월 전망치가 전월대비 17.8p 상승해, 작년 상반기 이후 가장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 이는 예타 면제, 서부산 개발계획 추진 등 지역적 개발 호재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주산연은 “예타면제 효과와 더불어 지난달까지 50선에 머물던 기저효과로 사업자들의 주택사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소폭 개선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전은 77.4, 서울은 76.4, 경기 72.0, 경북 70.8로 70선대 머물렀다. 그 외 지역은 60~50선을 횡보하면서 주택 시장 침체는 계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주산연은 관계자는 “주택사업자는 지방사업계획을 수립할 때 단기 사업전략보다는 장기적 관점으로 접근해야 한다”며 “면밀한 주택수급 분석을 기반으로 한 사업계획으로 적정 공급가격과 시기를 조정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