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Insight 인사이트 Global 글로벌

[김정기의 일본의 눈] 한반도와 일본열도를 잇는 섬 쓰시마

URL복사

Thursday, April 25, 2019, 09:04:57

김정기 교수가 쓴 일본이야기1. ‘섬으로 세상을 보는’ 소-다케유키의 시 눈길

 

[인더뉴스 편집국] 김정기 교수가 쓴 일본이야기1. ‘섬으로 세상을 보는’ 소-다케유키의 시 눈길

 

우리들은 일본에 대해 언제부터인지 ‘가깝고도 먼 나라’라고 부른다. 이를 두고 진부한 스테리오타입(고정관념)이라고 치부해 버리기엔 한국인이 일본인이나 일본에 대해 느끼는, 연관된 관념을 떨쳐 버릴 수는 없을 것이다.

 

그것이 반드시 일제 35년 동안 조선을 강점한데서 만 온 것이라고 단정하기도 어렵다. 나그네가 아는 몇몇 일본인 친구들은 친절하고 상냥하고 예의바른 ‘가까운’ 이웃 일본인이다. 그러나 역사에 나타난 광기 어린 집단화한 일본인은 이런 개개인 일본인과는 한참 ‘먼’ 일본인이다. 그렇게 ‘먼’ 일본인 상은 1923년 9월 관동대지진(關東大震災) 때 6000명 이상의 무고한 재일조선인을 집단 학살한데서 잘 드러난다.

 

나그네는 이런 관념을 염두에 두면서 한국에서 지리적으로 제일 가까운 쓰시마(対馬)에서 이야기를 시작해 보고자 한다. 쓰시마는 지리적으로 가까울 뿐만 아니라 역사적으로 한반도와 친근한 이웃 섬이다.

 

쓰시마는 고대로부터 한반도에서 일본열도를 잇는 징검다리 몫을 한 섬이다. 이 섬을 통해 먼 옛날 야요이(弥生) 시대(기원전 3세기~기원후 2, 3세기)에 논농사가 열도로 건너간데 이어 농기구를 만든 제철기술이 건너갔다. 이는 오늘날 일본인들이 자랑하는 자포니카 쌀 품종의 원종이 낙동강 하구에서 일군 쌀이라는 말이다.

 

물론 쌀 종자만 혼자 현해탄을 둥둥 떠갔을 리는 없다. 한반도 남부 가야 사람들이 그들의 문화와 함께 건너간 것이다. 나그네는 그 문화 중 으뜸가는 것이 현재 일본인의 정신적인 지주를 이루는 신도의 종교적 토대라고 본다. 이것이 한반도와 일본열도를 잇는 이 징검다리 섬, 쓰시마를 통해 전해졌는데, 이것이 조선의 무교로 토대가 된 일본의 고신도(古神道)이다.

 

■ ‘두 섬’-->‘쓰시마’ : 어김없이 보이는 ‘신사’ 일본 실감

 

먼저 지도상에서 쓰시마의 위치와 형태, 그리고 크기를 알아보자. 규슈 북부의 이토반도(系島半島)와 시카 섬(志賀島) 사이에 끼인 하카다만(博多灣) 입구에서 쓰시마의 중심 집락인 이즈하라(嚴原)까지 직선으로 해상 약 100킬로미터, 이키(壱岐)와 쓰시마 사이는 50킬로미터 남짓, 또한 북부의 히타가츠(比田勝)나 와니우라(鰐浦)에서 부산까지도 해상 약 50킬로미터이다.

 

 

쓰시마의 어원은 일본에서 한반도(당시 신라)로 넘어갈 때 나루터가 되는 섬[津島(쓰시마)라는 것에서 유래한다고도, 한반도 서남부의 마한(馬韓)에 상대하는 위치에 있다는 것에 유래했다고도 일컬어지고 있다[일본국어대사전]. 그러나 나그네의 생각으로는 한국어 ‘두 섬’에서 ‘쓰시마’로 전화한 것이라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짐작한다.

 

이 섬은 남북 약 82킬로미터, 동서 18킬로미터 내외로 좁고 긴 모습을 지니고 있다. 현재 카미시마(上島)와 시모시마(下島)로 나뉘고 있지만 이것은 1900(메이지 33)년의 만세키카이사쿠(万関開削[구일본해군이 군함을 왕래할 수 있도록 운하같이 뚫은 공사]로 그렇게 된 것이다.

 

섬 크기로는 709 평방킬로미터이며, 오키나와 본도-사도가시마(佐渡島)-아마미(奄美)대도에 뒤이은 큰 섬이다. 인구는 약 3만여 명을 웃돈다. 1876년 이후 나가사키(長崎 현에 속하고 2004년 3월 1일 상현(上県[카미아가타]) 하현(下県(시모아가타)]의 여섯 읍[이즈하라(嚴原町), 미쯔시마(美津島町), 도요타마(豊玉町), 미네(峰町), 가미아가타(上縣町), 가미쯔시마(上對馬町)]을 합해 전도가 쓰시마 시로 되었다.

 

이곳이 일본 땅이라고 실감케 하는 것이 섬 곳곳에 들어선 크고 작은 신사이다. 나그네 일행이 묵고 있는 이즈하라 호텔 이웃 골목에도 어김없이 작은 마을 신사가 들어서 있다. 우노도신사(宇努刀神社)라고 이름 붙인 이 마을 신사는 제신을 스사노오미고토(須佐男命)라고 적혀 있는데 이는 신라 신이다. 좀 떨어진 곳에는 오오토시 신사(大歲神社)로 이름 붙인 작은 마을 신사도 있다. 토속신 오오토신을 제신으로 모신다고 되어 있다.

 

이즈하라에는 우사(宇佐) 신궁신사와 같은 큰 신사도 있다. 북부 규수에 있는 우사하치만 궁을 총본산으로 권청되어 온 이 신사의 제신은 신공황후와 그의 아들이라는 오-진 천황. 이들 제신이 한반도 계라고 나는 최근 한 저서에서 밝힌 바 있다[<일본천황, 그는 누구인가>(2018). 쓰시마 북안에 들어선 와다쓰미신사(和多都美神社)도 한반도와 관계 깊은 큰 신사이다. 이 신사는 특이하게도 토리이(鳥居, 신사의 문) 5개가 나란히 바다 쪽으로 뻗어있는데, 이는 옛날 한반도 남부에 있었던 금관가야국의 방향이다.

 

그런데 우사신궁신사의 섭사인 텐신신사(天神神社)가 나그네의 눈길을 끈다. 제신을 어린 나이에 비운에 죽은 안도쿠(安德) 천황으로 한다는데, 이는 한반도에서 건너온 천신에 부회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 회에 잘 살펴 볼 것이다.

 

■ 곳곳에 눈길을 사로잡는 한일관계 역사 상징하는 비석들

 

우선 나그네의 눈에 띄는 것은 섬 곳곳에 서 있는 한반도와의 관계를 말해주는 ‘말없는’ 비석이 서 있다는 점이다. 섬 북쪽 한 둔덕에 서 있는 ‘조선국역관 및 종관순난영위(朝鮮國譯官並從者殉難霊位)’라고 새긴 비가 한국전망대에 세워져 있다.

 

 

1703년 2월5일[음력] 위문행역관사(慰問行譯官使) 선박이 대마도로 입항하다 암초에 좌초되어 침몰되는 사건이 일어났다. 정사 한천석(韓天錫)과 부사 박세양(朴世亮) 등 112명 전원이 물에 빠져 죽는 참변이었다.

 

이 비는 그들의 넋을 기리는 조선역관순난지비(朝鮮譯官殉難之碑)라고 되어 있다.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지만 1991년 ‘종가문고사료(宗家文庫史料)’에서 ‘도해역관종자성명’을 묵서로 쓴 소책자가 발견되어 112개의 영석으로 순국비를 건립해 추도하고자 건립했다고 한다.

 

일본인들이 언제부터 일본이 아닌 조선을 위해 죽은[순국] 사람의 영혼을 기리게 되었는지 들은 일은 별로 없지만 매주 밀물처럼 밀려오는 한국관광객으로선 기분 나쁠 일은 아니다. 필자도 최근 부산에서 비틀호를 타고 한 시간 조금 지나 히타가츠(比田勝)에 도착한 지 얼마 뒤 처음 비석을 접하고는 ‘과연’하고 일본인들의 상업적 민첩성에 감탄하고 말았다.

 

또한 이즈하라 가네이시성(金石城) 유적지에는 고종의 딸인 덕혜옹주가 쓰시마 도주 소-(宗) 씨의 후예인 소-다케유키(宗武志)와 결혼을 기념하는 이왕가종가백작어결혼봉축개념비(李王家宗家伯爵御結婚奉祝記念碑)가 세워져 있다.

 

조선을 잃은 비운의 마지막 ‘황제’ 고종의 딸 덕혜옹주(德惠翁主)와 도주 소-가의 후손 소-다케유키(宗武志)의 ‘정략’ 결혼을 축하하는 기념비이다. 일제에 의한 강제 결혼이었지만 1950년 대 덕혜옹주가 이혼하자 이 비석은 그대로 방치되어 버려진 채 있었지만 최근 한국관광객이 밀려오자 이즈하라 시청이 이를 다시 세운 듯하다.

 

그러나 이들 비석과는 결을 달리하는 ‘순국비’들도 있다. 시대를 거슬러 신라시대 신라국사 박제상공순국비(新羅國使朴堤上公殉國碑)도 그 중 하나이다. 그는 볼모로 잡혀간 신라의 왕자를 구출하고 자신은 일본에서 처형되었다. 조선왕조 시대로 내려오면 그 말년 1906년 구한말에는 조선의 마지막 선비로 불렸던 애국지사 최익현(崔益鉉)이 볼모로 잡혀와 순국한 곳이며 그를 추모하는 비석이 슈젠지(修善寺)에 세워져 있다.

 

나그네는 이들 비를 세운 까닭을 일본인들의 처지에서 생각해 본다. 일본인들은 원령(怨靈) 신앙을 뿌리 깊게 간직하고 있다. 무고하게 죽은 사람의 원혼을 달래지 않으면 해코지한다는 신앙이다. 특히 정적을 죽인 사람은 그 원령을 사당을 지어 기린다.

 

예컨대 8세기 중세일본의 실권자로 득세한 후지와라노후히토(藤原不比等, 659~720)의 사례가 여기에 딱 맞는다. 그는 당대의 실력자로 천하를 얻었지만 수많은 정치적 라이벌을 죽이는 대가를 치르고 서야 이룰 수 있었다. 원령신앙을 연구한 우메하라 다케시(梅原猛)가 쓴 <신들의 유찬>(1985)에서 보듯 후히토는 원령으로 만든 신들을 이즈모 대사(出雲大社)에 가두고, 원령이 돼 버린 소가(蘇我)씨 또는 소가계의 황족을 호우류유-지(法隆寺, 이하 ‘법륭사’)에 유폐시킴으로써 ‘원령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그것은 후지와라 일족이 이세신궁에 천황의 조상신 천조대신을 모시고, 자신의 조상신은 카스가대사(春日大社)모심으로써 정권의 영구한 안녕을 도모한 치세 전략이었다. 또한 그의 후손 후지와라노타다히라(藤原忠平, 1078~1162)은 셋칸가(攝關家)의 세습 섭정의 권력을 독점하기 위해 그의 실형 도키히라(時平)에 의해 회생당한 스가와라노미치자네(管原道眞)의 원령을 제사지내는 기타노텐만 궁(北天滿宮)을 지어 수호신으로 모시는가 하면, 자기 일족의 조상신을 모시는 우지테라(氏寺)로 코우후쿠지(興福寺, 이하 ‘흥복사’)을 지었다.

 

이런 비석 중 이례에 속한 비도 눈에 띈다. 그것이 미네초(峰町)에 있는 엔츠지(圓通寺)라는 사찰에 세워진 비석으로 초기 통신사로 쓰시마로 건너가 계해약조(癸亥約條)를 체결을 기리는 이예(李藝)의 공적비이다.  

 

나그네는 덕혜옹주나 소-다케유키나 정략결혼이라는 역사의 어둠을 거두어 내고, 그리고 인위적인 결혼봉축비의 억지성 지워 버리면, 소-다케유키(宗武志)의 시비는 마음에 다가온다. 이즈하라의 중심가에서 조금 떨어진 카미자카 공원에 이 시비에는 다음과 같은 시구가 새겨져 있다.

 

 

섬도 야위었지만/친구도 야위었다.

어형[魚型]의 미끼를 깎으면서/밀려오는 파도를 물끄러미 바라본다/허나 나에게는 꿈이 있지/라고 말을 맺자 친구는 웃음 짓는다.

깊은 밤 세계지도를 펴고/ 콤파스를 잡는다/섬을 축으로 한 바퀴 빙글 돌린다 (島も痩せたが/友も痩せた。魚型を削りながら/だまって 潮を見る/だが おれには夢がある、言いさして友は笑う。深夜 世界図をひらく/コンパスを取る/島を軸に ぐるっと回す)

 

이 시는 1964년 발간된 <신쓰시마지>(新対馬誌) 속표지에 서문으로 게재된 소-다케유키의 작품이다.

 

다케유키는 구 쓰시마 번주의 후예인데 도쿄대 영문학과 출신의 학자이었다. 하쿠슈(白秋) 파 문하의 시인이며, 게다가 영문시 짓기에 능통했다. 한일고대사에 밝은 고고학자인 모리 코이치(森浩一) 교수는 “과연 쓰시마 도주의 후예답다"고 이 시를 칭송했다.

 

그런데 내가 이 시를 눈여겨본 까닭은 섬을 축으로 해 세계를 본다는 그의 역사안(歷史眼)이다. 고대 이래 이 섬은 조선 문물 유입의 창구이었음은 앞에서 본대로 이다. 과연 이 섬을 통해 열도로 건너간 조선 문물은 어떤 것인가.

 

글쓴이=김정기 한국외대명예교수

 

◇ 김정기 교수는?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석사, 미국 컬럼비아대학 정치학과 대학원에서 일본 근대정치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언론학회 회장, 방송위원회 위원장,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언론정보학부 명예교수다.

 

저서로 『국회프락치사건의 재발견』(I·II), 『전후 일본정치와 매스미디어』, 『전환기의 방송정책』, 『미의 나라 조선:야나기, 아사카와 형제, 헨더슨의 도자 이야기』 『일본천황, 그는 누구인가』 등이 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More 더 읽을거리

정리=박명기 기자 pnet21@inthenews.co.kr

배너

[2025 2분기 실적] LG에너지솔루션, IRA 세액공제 없이도 영업익 ‘흑자’

[2025 2분기 실적] LG에너지솔루션, IRA 세액공제 없이도 영업익 ‘흑자’

2025.07.25 13:21:48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LG에너지솔루션[373220]은 올해 2분기 매출 5조5654억원, 영업이익 4922억원을 달성했다고 25일 밝혔습니다. 매출은 전년 동기(6조1619억원) 대비 9.7% 감소했고 올해 1분기(6조2650억원) 대비 11.2% 감소했습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1953억원) 대비 152.0%, 올해 1분기(3747억원) 대비 31.4% 증가했습니다. 2분기 영업이익에 반영된 IRA(Inflation Reduction Act) 세액 공제(Tax Credit) 등의 금액은 4908억원입니다. 이를 제외한 2분기 영업이익은 14억원으로 6개 분기만에 흑자 전환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 CFO(최고재무책임자) 이창실 부사장은 "매출은 안정적인 EV향 제품 판매와 미시간 홀랜드 신규 ESS 공장의 양산 시작으로 북미 지역 출하량이 증가하였으나, 정책 변동성 확대에 따른 고객 구매 심리 위축과 메탈가 하락으로 인한 판가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감소했다"며 "손익의 경우 북미 생산 비중 확대에 따른 고수익 제품∙프로젝트 물량 증가와 전사 차원의 비용 효율화 및 재료비 절감 등 원가 혁신을 통해 IRA Tax Credit 등을 제외한 기준으로도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날 열린 실적설명회에서 ‘하반기 사업 환경 및 대응 전략’을 밝혔습니다. 우선 가장 핵심적인 환경 변화 요인으로 북미 관세 강화 및 대규모 감세법안(OBBBA)을 꼽았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전 국가 대상 10% 보편관세 및 국가별 상호관세를 부과하고 있는데 특히 중국산 배터리(EV용 73%∙ESS용 41%)에 고관세를 적용하며 대중국 견제 기조를 강화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조기 일몰 우려가 있었던 AMPC(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는 32년까지, ESS 설치 프로젝트 관련 ITC(투자세액공제) 조항도 2035년 내 착공 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게 유지됐습니다. PFE(금지외국단체) 조항도 신설됐습니다. PFE 기업은 미국 내 배터리 시설 투자 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없으며, 이 외 생산자들도 PFE산 원재료 비중을 축소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중국 등 PFE 기업의 미국 시장 진출에는 상당한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였습니다. 반면 EU는 역내 배터리 생산 프로젝트에 8억5000만유로의 투자를 발표했으며, 영국 또한 약 전기차 구매 보조금을 재개, 자국산 중심의 전기차 수요 촉진에 나서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러한 관세 정책 및 정책적 변화는 단기적으로 전기차 시장 성장 둔화를 초래할 수 있으나 AI∙자율 주행 서비스 확산으로 장기 EV 수요 모멘텀은 더욱 확대될 것"이라 전망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2분기에 대해 "유의미한 수주성과를 달성하며 성장 모멘텀을 지속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지난 6월 중국의 체리기차와 체결한 46시리즈 공급계약이 대표적인 수주 사례로 꼽았습니다. 자국 배터리 선호도가 강한 중국 OEM과의 첫 원통형 수주 계약으로, 신규 폼팩터인 46시리즈의 높은 기술력을 인정받았을 뿐 아니라 고객 포트폴리오를 한층 다각화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고 자평했습니다. 미시간 홀랜드 공장에서 LFP 기반 ESS 롱셀 본격 양산에 돌입한 것 또한 주요한 성과로 평가했습니다. 이를 통해 북미 ESS 생산 역량을 강화, 고객들의 현지 생산 요구에 적극 대응하고 다양한 제품 경쟁력을 기반으로 ESS 추가 수주를 이어 나간다는방침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하반기 녹록치 않은 경영 환경에도 실적 개선을 흐름을 지속하기 위해 전기차 수요 둔화에 대응, ESS 및 신규 폼팩터∙중저가형 신규 케미스트리 양산 확대를 통해 가동률을 극대화할 계획입니다. 또한 신규 투자 최소화와 내부 자원 재배치를 통해 고정비를 감축하고 염가 소재 확보∙각 소재별 공급망 최적화 전략으로 원가 경쟁력을 확보해 나간다는 복안입니다. 사업 포트폴리오도 한층 강화합니다. 북미 시장 현지 생산 ESS 수요 확대에 맞춰 올해 연말까지 17GWh, 2026년 말까지 30GWh 이상의 북미 현지 Capa를 구축해 나갈 예정입니다. 유럽 시장에서는 중저가 전기차 수요에 맞춰 하반기 폴란드 공장에서 고전압 미드니켈(Mid-Ni), LFP 등 경쟁력 있는 제품 양산을 시작합니다. 혁신 기술 개발 또한 지속한다. EV용 LFP는 신규 공법과 건식전극 공정을 적용한 셀을, ESS용 LFP는 고밀도∙고집적 설계로 원가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신규 케미스트리 LMR은 LFP 대비 30% 이상 에너지밀도를 개선, 2028년 핵심 고객사의 차세대 EV 탑재될 예정입니다. 아울러, 2028년 10분 내 충전 기술을 제품에 도입하고 건식전극 또한 연내 오창 에너지플랜트에서 양산성을 확보한다는 계획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 CEO 김동명 사장은 "어려운 경영환경에도 축적된 역량과 단단한 내실을 기반으로 유의미한 실적 개선을 이뤄낼 수 있었다"며 "끊임없는 도전과 변화를 통해 LG에너지솔루션만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실현해 나간다면 다시없을 성장의 기회를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