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계 입문을 위한 지상 특강. 국내 유일, 국내 최다 12만명의 회원수를 자랑하는 <언론고시카페-아랑>의 운영진의 협조를 받아 <인더뉴스>의 청춘 독자들께 촌철살인 언론사 취업팁을 전합니다. [편집자주]
[언론인을 꿈꾸는 카페 ‘아랑’ 운영진] 언론사에 입사한 뒤 6년간 후배들의 언론사 취업에 대해 조언해왔지만, 지금도 풀리지 않는 답이 있다. 바로 “언론사 합격에 스펙이 얼마나 중요한가”하는 명제다.
공식적으로는 스펙은 아무 짝에도 쓸모가 없다. 실제로 학생들이 많이 한다는 대외활동 같은 스펙이 있다고 해서 이를 눈여겨보거나 집중 질문 세례를 날릴 면접관은 없다. 현직 차장급 언론인인 심사위원이 블로거 기자단 활동을 했다는 지원자에게 깊은 감명을 받겠는가.
수치적인 요소들을 감안한다고 해도 글쎄다. 토익 900점과 930점, 930점과 950점의 차이는 없다. 900점이 넘으면 “공부 좀 했구나” 정도의 반응일 것이요, 990점 만점이라면 “영어를 꽤 하는군”이라는 답이 올 것이다.
이유는 명쾌하다. 언론사들이 수치적인 요소로 커트라인을 정하지 않고, 최대한 자체적인 기준으로 시험을 보기 때문이다. 서류 전형에서는 자기소개서를 폭넓게 평가하는 경우가 많다. 지원 이유나 포부, 열정 등을 자기소개서(이하 자소서)를 통해 충실히 평가하는 식이다.
대개 몇 명의 심사위원이 합숙을 하면서 자소서를 읽어보고, 충분히 자소서를 통해 가능성과 잠재력, 입사 후 발전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본다. 이후에는 필기시험이나 실무평가(합숙평가를 포함하는 개념)를 통해 철저히 실력 위주로 평가하게 된다.
이런 채용 프로세스를 알고 있는 사람이라면, 스펙 자체로 지원자가 더 좋은 점수를 얻거나 낮은 필기시험 점수를 만회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스펙은 다른 시험 요소 외의 ‘참고요소’ 내지는 ‘플러스 알파’ 정도인 것이다.
하지만 문제는 이런 점을 자의적으로 해석하는 일부 지망생들의 태도다. “스펙은 중요하지 않다”면서 스스로의 실력을 가꾸려는 태도를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스펙에 매달리지 않는다면서 언론사 입사에 필요한 논술이나 작문, 실무평가에 필요한 능력까지 기르지 않게 된다.
마찬가지의 맥락으로 지원자들의 실력이 큰 차이가 날 것이라는 태도 역시 지원자들의 자만이다. 탁월한 한두 명을 제외하고는, 매년 공채를 진행하면 대동소이한 지원자들이 필기시험을 통과한 이후 전형에 나타난다. 시험을 보는 친구들끼리 안면을 익힐 정도로, 늘 필기를 통과하는 사람들이 계속 필기시험을 통과하고 그 중에 일부는 최종합격을 한다.
이 때문에 언론고시를 지하철 2호선이라 부르는 사람들까지도 있다. 100점 만점에 80점짜리인 고만고만한 학생들이 경쟁을 하는데 조금이라도 다른 점이 있어야 면접에서 더 어필을 할 수 있고,
스펙은 그 경쟁을 위한 참고자료가 될 수도 있다.
②회로 이어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