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Column 칼럼

"닭이 잘 익었네..된장찌개가 구수해"

URL복사

Wednesday, October 22, 2014, 15:10:27

[아내와 외식하기] ⑩ 집밥의 추억

 

 

[라이프&스타일팀] 인더뉴스 편집장을 비롯한 많은 총각 형님들은 이거 웬 염장질이냐면서 몰고(kill) 버튼을 누르고 싶겠지만, 현실이다. 남편들은 외식만 하고 살 수는 없다. 나 역시 1주일 35끼 중 4(평일 아침)를 굶고, 20끼 이상을 외식으로 처리하는 사람이지만, 그래도 집밥에 대한 그리움이 남아있다. 이전에 젊은(?) 시절인 20대에는 집밥에 대한 그리움이 없었는데, 서른이 넘자 그런 생각이 들었다. 이 때문에 결혼 전 아는 형님과 둘이 살 때에도 가끔은 밥을 해먹었다. 주로 반찬이 김치에 고기 구워먹는 정도가 많았지만. , 라면 끓여먹은 것은 정말 많았다.

 

아내가 밥을 해주면 나는 주로 먹는 편이다. 아내가 해줬던 밥 중에서 기억에 남는 것은 3가지 정도다. 우선 삼계탕. 삼계탕에 닭죽을 먹을 때에는 진짜 내가 가장이 됐구나하는 생각이 든다. 먹는 방법은 다들 아니깐 생략하자. 하지만 맛있다는 밋밋한 말 대신, “닭이 잘 익었다, 된장찌개가 구수해등 구체적으로 말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전에 신문에서 읽었던 어떤 에티켓 이야기가 떠오른다. 프랑스 CEO의 집에 한국인 임원들이 초대를 받았는데, 부인이 내놓은 음식에 대한 찬사 대신에 음료를 달라고 했다가 계약을 그르쳤다는 이야기였다. 한국에서, 게다가 집이라면, 상황은 다르겠지만 맥락은 같다. 만든 사람은 상대방을 위해 귀찮음을 무릅쓰고, 성의를 다해서 만들었다. 칭찬과 감사의 마음이 먼저 아닐까.

 

아내가 해줬던 제육볶음과 오징어 두루치기는 내 입맛에 아주 잘 맞았다. 이럴 때에는 더 칭찬을 해야 한다는 것이 초보 남편의 깨달음이다. 사실 아내는 음식을 한지 그리 오래 되지 않았다. 처갓집에 갔을 때 이를 뼈져리게 느낀다. 딸을 금지옥엽처럼 키웠던 장인어른은 집에서 딸이 음식하는 것을 못 보신다. 그냥 너는 앉아 있어. 그러고는 혼자서 음식을 몽땅 하신다. 할 줄 아는 게 없는 사위는 그저 옆에서 맥주나 마시고 있을 따름이다.

 

하지만 늘 아내가 음식을 하고 싶어하는 건 아니다. 사랑도 사랑이겠지만, 같이 밥을 먹고 싶다, 그 밥을 만들어 주고 싶다는 마음이 들어야 한다. 나중에 아기가 태어난다면야 당연히 해줘야 하는 일이겠지만, 남편 혼자 있을 때에는 밥을 해주고 말고는 마음에 따라 다르다. 물론 왜 밥 안 주냐고 한 마디 하면 주겠지만, 그 밥이 그리 맛이 좋을지는 모를 일이다.

 

아내의 음식 몇 가지를 사진으로 소개한다. 뭐 간단한 음식도 많고, 장모님이 해주신 반찬이 베이스인적도 많다. 그래도, 적어도, 밥을 차려줘서 고맙고 의외로 맛이 좋다는 점이 좋다.

 

눈물겨운 콩비지 구매기

 

물론 내가 밥을 한 적도 몇 번은 있다. 한 번은 아내가 콩비지찌개가 먹고 싶다고 몇 차례를 이야기 했었다. 이틀 사이에. 안 되겠다 싶어서 콩비지 끓이기 준비를 했다. 임신한 아내가 뭐 먹고 싶다고 했는데, 외면하면 평생 간다는 형님들의 이야기가 떠올랐다. 하지만 일하던 중이라, 퇴근을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해주세요서비스를 시켰다. 역삼동에서 오는데 심부름값만 25000. 그게 대수랴? 시켰다.

 

하지만 두둥. “역삼 이마트에는 비지가 없어요라는 말에 억장이 무너졌다. 묵은 김치와 청국장 등이 배달됐지만, 이게 다 무에 소용이란 말인가. 돈을 지불하고 망연자실하게 앉아서 일을 했다. 일요일 저녁. 어디서 콩비지를 살 수 있었을 것인가. 택시를 타고 서울역 롯데마트에 갔다.

 

저기요. 콩비지 어디 있나요.”

 

없을 텐데요.”

 

순간 소리를 지를 뻔 했다. 분명, 홈페이지에 콩비지 있었는데 말이다. 미친 사람처럼 마구 롯데마트를 헤집고 다니다가 콩비지를 발견했다. 딱 두 팩. 은전 한 닢이 이런 기분이다. 콩비지를 얼른 사들고 나왔다. 바로 택시를 타고 집으로 갔다. 때는 밤 1130.

 

결국, 아내는 새벽 1시에 콩비지찌개를 먹었다. 내가 끓였는데 처음에 너무 싱거워서(아무 맛도 안 났다) ‘야매로 조선간장 두 큰 술을 넣었는데, 기적적으로 맛이 살아났다. 죽도 밥도 아닌, 짭짤하기만 한 콩비지를 아내는 맛있게 먹어줬다.

 

그리고 나서 아내는 2주 뒤, 스탠다드 콩비지 찌개를 끓여줬다. 엄마가 해준 그대로다. 미안, 나도 마음속에는 그렇게 끓여질 줄 알았어.

 

*ps. 무심한 남편들은 아내가 좋아하는 김치에 신경을 써 볼 필요가 있다. 얼마 전 내 어머니가 아내에게 파김치 좋아하니라고 했는데 좋아하는데, 오빠가 안 좋아해서 조금 사다 먹었어요라고 해서 얼굴이 빨개졌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라이프&스타일팀 기자 hopem1@naver.com

배너

[3분기 실적] 한미사이언스, 영업이익 393억원…전년 대비 75.2↑

[3분기 실적] 한미사이언스, 영업이익 393억원…전년 대비 75.2%↑

2025.10.29 16:51:09

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한미그룹 지주회사 한미사이언스가 전문경영인 체제 전환 이후 3분기까지 누적 매출 1조원을 돌파했습니다. 한미사이언스는 29일 공시를 통해 2025년 3분기 연결기준 잠정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매출은 3425억원, 영업이익은 393억원, 순이익은 31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2%, 75.2%, 84.8% 증가했습니다. 3분기 누적 기준으로는 매출 1조129억원, 영업이익 1010억원, 순이익 847억원을 기록하며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회사 관계자는 “3분기 실적은 의약품 유통과 헬스케어 부문의 매출 확대에 힘입어 달성됐다”며 “전문경영인 체제를 기반으로 그룹사 간 유기적 협업 구조를 강화하고, R&D 및 신사업 중심의 사업형 지주회사 모델을 정착시키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미사이언스는 지난 3월 전문경영인 체제로 전환한 이후, 그룹 시너지 강화와 경영 내실화를 추진하며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한 성장 전략을 본격화했습니다. 김재교 부회장이 총괄하는 이노베이션본부는 ▲파트너십 발굴을 담당하는 C&D(Connect & Development) 전략팀 ▲내부 파이프라인 사업화를 주도하는 L&D(Launching & Development) 전략팀 ▲특허 관리와 지원을 맡은 IP팀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회사는 R&D센터와의 협업을 통해 내부 개발과 외부 기술을 병행하는 이중 성장 전략을 구체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혁신 기조 속에서 3분기 헬스케어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6.9% 증가한 391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의약품 유통 부문(온라인팜)은 국내 매출 확대에 힘입어 2871억원을 달성했으며, 의약품 자동화 시스템 전문기업 제이브이엠은 북미 시장에 신제품 ‘카운트메이트(COUNTMATE)’를 출시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핵심 계열사 한미약품은 비만 치료 신약 ‘에페글레나타이드’의 3상 중간 톱라인 결과를 조기 발표하고, 글로벌 제약사 길리어드사이언스와 ‘엔서퀴다’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높였습니다. 또한 이상지질혈증 복합신약 ‘로수젯’을 비롯해 고혈압 제품군 ‘아모잘탄패밀리’,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에소메졸패밀리’ 등이 견조한 처방 실적을 보였으며, 지난 8월 출시된 저용량 3제 항고혈압제 ‘아모프렐’도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김재교 한미사이언스 대표이사는 “지주회사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 동시에 오픈이노베이션 기반의 새로운 성장 기회를 만들어가고 있다”며 “앞으로도 그룹 계열사들의 미래 성장 동력을 예측하고 사업 영역을 확장해 한미그룹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끌겠다”고 말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