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신재철 기자ㅣ라임자산운용의 환매 중단 2개 모(母)펀드 회계 실사 결과 회수할 수 있는 금액이 원금의 50~60% 수준일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1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라임자산운용의 펀드 회계 실사를 맡은 삼일회계법인은 지난 7일 라임 측에 전달한 보고서에서 모펀드 '플루토 FI D-1호'와 '테티스 2호'의 예상 회수율 범위를 제시했습니다.
삼일은 두 펀드의 예상 회수율 범위의 하단을 각각 플루토 50%, 테티스 60% 수준으로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두 펀드의 환매 중단 액수가 각각 플루토 9000억원, 테티스 2000억원에 달하는 것을 고려하면 최악의 경우에 플루토는 4500억원, 테티스는 1200억원 정도를 회수하지 못한다는 의미입니다.
여기에 더해 총수익스와프(TRS) 계약을 맺은 증권사가 대금을 선순위로 자금을 회수하면 일반 투자자들의 투자금 회수율은 더 낮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앞선 중간 평가에서 예상 손실률이 40∼70%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범위가 좁혀진 것으로 보입니다. 이 같은 회수율은 예상 범위의 하단인 만큼 각 펀드의 실제 회수율은 이보다 높아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아직 실사가 진행 중인 '플루토 TF-1호'(무역금융 펀드)를 포함해 전체 환매 중단액은 약 1조 6700억원인데요. 이 가운데 TRS 대출금은 6700억원으로 40%에 해당합니다.
이에 라임자산운용은 일반 투자자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 TRS 계약을 맺은 신한금융투자, 한국투자증권 KB증권 등에 '3자 협의체'를 구성해 논의하는 방안을 검토했지만, 증권사들이 이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인 상태입니다.
한편 라임자산운용은 오는 10일 삼일의 회계 실사 결과와 펀드 자산가치 평가 기준, 자산 회수와 환매 예상 일정 등을 판매사들을 통해 고객들에게 안내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회계 실사 보고서 내용을 토대로 조만간 집합투자재산평가위원회를 열어 자산별 평가가격을 조정한 뒤 오는 14일 환매 중단 펀드의 예상 손익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라임자산운용이 삼일의 실사 결과를 자산 가치 평가에 모두 반영할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환매 중단 펀드가 '사고 펀드'라는 점에서 자산 규모 축소는 불가피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