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박경보 기자ㅣ지난해 해외 주요국에 판매된 자동차는 전년 대비 4.2% 감소한 6203만 8000대로 집계됐습니다. 줄어드는 자동차 시장 속에서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등 미래차의 비중은 커지고 있는데요. 산업 개편에 맞춰 미래차 육성은 물론 선진국처럼 고용 감소에 대비한 지원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는 20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9년 해외 주요 자동차 시장 및 정책 동향’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해외 주요 자동차 시장은 2년 연속으로 쪼그라들었는데요. 특히 지난해 기록한 4%대의 감소 폭은 2018년(0.8%)보다 훨씬 커졌습니다.
협회는 이 보고서를 통해 주요 자동차 시장의 승용차 판매실적과 자동차산업 정책을 분석했는데요. 분석 대상에 오른 자동차 시장은 미국, EU, 중국, 인도, 멕시코, 브라질, 러시아 등 7곳입니다.
지난해 자동차 판매량이 큰 폭으로 줄어든 건 신흥시장이 힘을 쓰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전년과 비교해보면 인도(-12.7%), 멕시코(-7.5%), 러시아(-2.3%) 등 신흥시장이 대부분이 역성장을 기록했는데요. 세계 2위 시장인 중국 역시 (-9.5%) 뒷걸음질 쳤습니다.
이렇다 보니 현대·기아차 등 한국 자동차 브랜드들도 성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지난해 한국 자동차 브랜드가 글로벌 주요 시장에 판매한 승용차는 총 469만대로, 전년에 기록한 477만 3000대 대비 1.7% 줄었습니다.
이처럼 자동차 수요가 한계에 다다르자 글로벌 주요국들은 전기차 보급, 자율주행차 개발 지원 등 미래차 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있는데요. 특히 내연기관차로 대표되는 양적 성장시대가 막을 내리면서 고용 감소에 대비한 지원책도 적극 검토 중입니다.
먼저 유럽연합(EU)은 2025년까지 무·저공해차 1300만대를 보급할 계획인데요. 이에 따라 독일은 최대 40만개에 달하는 내연기관차 관련 일자리가 사라질 수 있다고 보고, 직무전환 교육 강화를 위한 보조금 지급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탈리아는 자국의 최대 완성차 업체인 피아트가 전기차를 개발할 수 있도록 적극 밀어주고 있는데요. 전기차 개발 및 생산과 관련한 투자를 지원하기 위해 세제혜택을 제공한다고 합니다.
또 중국은 올해 수소차를 5000대 신규 보급하는 등 2025년까지 신차 판매의 25%를 친환경차로 보급한다는 계획입니다. 특히 후베이성 샹양시에 자율주행차·커넥티드카를 시험할 수 있는 새로운 주행장도 최근 개설했습니다.
인도정부는 최근 제조업 성장률이 악화되자 경기 부양을 위해 법인세율을 현행 30%에서 22%까지 낮추기로 결정했는데요. 자동차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전기차 통합간접세를 인하하고, 하이브리드차 세율 인하 및 폐차보조금 제도 도입도 검토 중입니다.
해외 주요국처럼 우리 정부도 미래차 시대에 대응한 정책을 내놔야 한다는 게 협회의 생각입니다. 자동차 시장이 급변하고 중국도 빠르게 추격해오고 있는 만큼. 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뒷받침이 절실하다는 겁니다.
협회 관계자는 “환경규제 강화, 중국발 글로벌 공급망 가동 차질 등 수요를 회복할 동력이 약화됐지만 미래차 산업에 대한 투자는 멈출 수 없다”며 “우리 정부도 독일 사례에서처럼 미래차 산업 육성과 함께 고용감소에 대비한 지원책 등도 함께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