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전건욱 기자ㅣ최근 큰 폭으로 내린 기준금리에 보험사들의 한숨 소리가 더 커지고 있습니다. 가뜩이나 하락한 자산운용 수익률은 더 떨어지고, 보험계약 환급금 감소로 상품 수요도 줄어들 확률이 높다는 겁니다.
18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이번 금리 인하는 보험사의 수익성·성장성·건전성 모두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것으로 우려됩니다.
수익성의 경우 보험사의 자산운용과 관련이 있습니다. 보험사는 고객으로부터 받은 보험료의 대부분을 우량 채권 매입에 사용합니다. 국고채가 대표적입니다. 국고채는 통상 기준금리가 내려가면 동반 하락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실제 지난 16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하하자 다음 날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전날보다 0.069%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이처럼 기준금리 인하는 보험사의 수익성을 악화시킵니다. 운용자산이익률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보험사는 은행, 증권사와 달리 채권을 유통시장에서 거래하기보다는 만기까지 가져가는 방식으로 운용한다”며 “기준금리 하락은 시장금리의 하락으로 이어져 보험사의 수익성을 악화시킬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금리가 떨어지는 환경은 보험사의 성장성과도 연결됩니다. 연금보험과 같은 금리연동형 상품은 보험사가 일정 주기로 공시이율을 적용합니다.
공시이율은 보험사 자체적으로 정하는 금리지만, 국고채 이율과도 관련이 있어 금리가 낮아지면 공시이율도 같이 낮아집니다. 결국 금리 하락으로 공시이율이 내려가면 고객에게 돌려주는 이자가 줄어들어 보험상품의 매력은 감소합니다. 이는 결국 보험상품의 신계약 위축으로 이어집니다.
가장 큰 문제는 자본건전성입니다. 생명보험사들은 2000년대 고금리 시절 판매한 확정금리형 저축형상품 계약을 지금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높은 금리를 지급해야 하는 부담을 안고 있는 셈이지만, 금리가 인하되면 이차역마진이 발생해 추가로 준비금을 쌓아야만 합니다. 준비금은 부채로 인식되기 때문에 보험사 입장에서는 건전성 확보를 위해 자본 확보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생보사 관계자는 “새 국제회계기준(IFRS 17) 도입으로 자본을 늘려야 하는데 금리가 낮아지면 이를 위한 비용이 더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에 따라 생보업계는 공동재보험과 보험계약 재매입에 속도를 낼 계획입니다. 공동재보험을 통해 금리 위험을 분산하고, 고금리 확정형 보험상품을 재매입해 이차역마진을 축소하겠다는 겁니다.
추가 금리 하락에 대비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미 연준이 양적완화를 시사하는 발언을 하면서 국내 채권금리가 더 하락할 수 있다”며 경고의 목소리를 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