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이진솔 기자ㅣ5세대(5G) 이동통신 상용화 1주년이 가까워지는 현재까지도 ‘불통 5G’ 논란은 여전합니다. 특히 실내 혹은 지하에서 수신이 끊기거나 LTE(롱텀에볼루션)로 강제전환되는 현상 때문에 소비자들이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3사가 옥외 커버리지(수신범위) 확대에 집중하느라 인빌딩(실내) 커버리지 구축에는 미진한데다 KT를 제외한 두 회사는 ‘커버리지맵’에 인빌딩 커버리지 구축 현황조차 공개하지 않아 이용자들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27일 KT가 홈페이지에 공개한 ‘5G 커버리지 현황’에 따르면 현재 KT 5G 인빌딩 커버리지는 KTX 서울역, 신촌 현대백화점 등 누적 473개 건물입니다. 업계에서는 인빌딩 커버리지와 관련해 정확한 수치를 함구하는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도 KT와 대동소이할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SK텔레콤과 KT는 지난해 말까지 약 1000개 건물에 5G 서비스를 지원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지만 달성에 실패했습니다. LG유플러스는 별도 목표치를 내놓은 적이 없습니다. 이동통신사 관계자는 “커버리지는 현재 구축 단계로 지속적인 유지보수와 보완이 필요한 영역”이라고 해명했습니다.
인빌딩 서비스는 건물 내 음영지역에 있는 무선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실내 통신 장치를 의미합니다. 무선 중계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동축 케이블이나 광 선로를 통해 건물 내 임의 장소에 전송합니다. 외부에서 실내로 전달되는 신호만으로는 원활한 통신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건물 안에서 신호를 중계해주는 절차가 필요합니다.
실내 커버리지가 공개되지 않으면 소비자가 제대로 된 5G 서비스가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기가 어렵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수치 자체가 통신 품질을 결정하는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다”라며 “이를 두고 지난해 상용화 초기에 속도 우위를 놓고 벌어졌던 소모적인 싸움이 재발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지난 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이동통신 3사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위기극복 방안으로 5G 등 상반기 투자를 2조 7000억 원에서 4조 수준으로 늘리기로 하면서 인빌딩 서비스 확대될 여지가 커졌습니다.
하지만 당장은 코로나19로 차질이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건물주와 대면 매칭을 하는 등 협의하는 데 시간이 필요한데 코로나19로 인해 더뎌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소비자단체는 5G 서비스 제공이 미흡한 실태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 안정적인 서비스가 가능할 때까지 일시적인 요금할인이 필요하다는 주장입니다.
문은옥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간사는 “기지국이 부족해서 먹통 현상이나 ‘배터리 광탈’이 일어나고 있다”며 “기지국을 늘리는데까지 시간이 필요한데 그동안에 제대로 된 서비스 제공이 어려울 것이니 요금할인이 들어가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동통신사가 공개한 커버리지맵 상에 실제 ‘음영 지역’이 표시되지 않는 등 보여주기에 불과하다는 비판도 나옵니다. 문은옥 간사는 “커버리지맵에 속해있어도 신호가 잡히지 않는 경우가 있다”며 “커버리지맵이 실질적으로 품질을 확인하는 절대적인 지표는 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