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Column 칼럼

[김영욱의 디지로그DigiLog] 응답하라! 기묘한 이야기

URL복사

Saturday, April 11, 2020, 06:04:00

20세기 소년소녀를 팝니다

 

인더뉴스 김영욱 기자ㅣtvN의 드라마 ‘응답하라 시리즈’는 잘 만들어진 프랜차이즈의 훌륭한 예가 되었습니다. 80~90년대를 경험한 이들에게는 향수를, 그 시대를 아직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세대에게는 신선함을 가져다 주었죠.

 

H.O.T.와 젝스키스로 대변되던 아이돌 문화와 서태지 신드롬, 대학농구가 전성기를 달리던 농구대잔치와 일본 만화가 아다치 미츠루Mitsuru Adachi 安達 充의 감성이 묻어나는 스토리, 가족과 친구의 사랑과 우정 같은 주제가 세심한 과거의 복원으로 인해 생명력을 갖게 되었습니다.

 

우연인지 필연인지 넷플릭스Netflix 인기 오리지널 시리즈 ‘기묘한 이야기도Stranger Things’도 80년대를 조명합니다. 스티븐 스필버그의 영화 ET와 리처드 도너의 영화 구니스The Goonies, 그리고 롭 라이너의 영화 스탠 바이 미Stand by Me가 공포와 미스터리 버전으로 뒤섞인 이 시리즈는 세계적인 흥행에 성공하며 가장 대표적인 드라마로 자리매김 하죠.

 

할리우드는 80~90년대 인기 TV시리즈와 영화를 끊임없이 리부트Reboot, 리메이크Remake하며 — 미녀삼총사Charlie's Angels, 맨 프롬 엉클The Man from U.N.C.L.E., 터미네이터Terminator, 스타워즈Star Wars 등등 — 향수의 행렬에 동참합니다. 

 

 

‘우연인지 필연인지’라는 표현을 썼지만 사실은 매우 시의적절한 기획와 타당한 시장성의 확보로 이뤄진 결과...라는 표현이 맞을 듯합니다. 왜 80년대이며 왜 과거의 재현에 집중하는 걸까요? 자본주의 시장에서 ‘왜’라는 질문의 답은 대개의 경우 ‘돈’이 되니까… 입니다. 그리고 또하나 생각해 볼 문제는 과연 ‘누가 그 돈을 쓰는 주체인가?’ 라는 점입니다. 

 

80~90년대를 재현 및 복원할때 그것을 적극적으로 소비하고 즐기는 소비층이 존재할 것인지? 또 그 주체가 과연 돈이 있을 것인지? 그리고 소비할 능력과 시간 그리고 취향에 부합하는지? 그 소비의 규모가 어느 정도이며 몇년이나 지속가능할 것인가는 사업의 성패를 결정짓는 중요한 부분일 것입니다.

 

20세기의 소년소녀, 즉 80년대와 90년대를 소년과 소녀로 경험했던 지금의 베이비부머 세대와 X세대는 그들이 과거에 즐기던 음악, 영화, 당시의 풍경과 경험에서 느꼈던 것들을 다시 경험하는 것에 긍정적입니다. 그것이 과거의 향수 때문인지, 기억의 오작동에 의한 과거의 미화 때문인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적어도 그런 것에 돈을 쓸 준비는 되어 있습니다. 

 

기술의 발달은 과거의 재현과 복원 그리고 재생을 매우 쉽게 가능하게 했고, 영상매체를 통한 80~90년대는 완벽한 재현력을 넘어 생명력을 가지게 돼버렸습니다. 지금은 디즈니Disney가 인수한 마블 스튜디오Marvel Studios는 만화를 원작으로한 어벤져스The Avengers를 영화화하면서 과거의 코믹스Comic 또는 그래픽노블Graphic Novel을 토대로 성장했던 20세기 소년소녀를 극장으로 불러들입니다. 

 

 

거기에 20세기를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세대는 그들이 환호하는 배우들이 낯설지만 익숙한 풍경속에서 풀어내는 이야기에 매료되었습니다. 마블의 10년을 결산하는 영화 엔드게임End Game에서 어벤져스의 시작을 처음 접했던 어린이는 소년과 소녀로, 소년과 소녀는 청년과 숙녀가 되었습니다. 

 

디즈니 플러스Disney Plus의 출발은 이 지점인 듯 합니다. 전 연령대를 아우르는 콘텐츠 — 미키마우스와 도날드 덕으로 대변되는 세대와 스타워즈와 마블코믹스로 성장한 세대, 그리고 마블 스튜디오와 리부트되는 여타의 시리즈물로 새롭게 동참하게 된 앞으로의 세대들에게 어필하고 있는 — 를 확보한 디즈니는 이미 공룡이 된 넷플릭스보다 더 큰 공룡이 되어 우리의 응답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

 

글쓰는데 도움이 된, 읽고 재미있었던 글과 기사들

Disney Plus vs Netflix: who will win?

from. techradar https://www.techradar.com/news/disney-plus-vs-netflix-who-will-win

 

 

The Unsurprising Success of ‘Stranger Things’

from. Townhall https://townhall.com/columnists/laurahollis/2019/07/25/the-unsurprising-success-of-stranger-things-n2550592

 

It’s The Content, Stupid! (Welcome To Hollywood’s New Golden Age)

from. forbes https://www.forbes.com/sites/petercsathy/2020/02/16/its-the-content-stupid-hollywoods-new-golden-age/#38db8a627bc8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김영욱 기자 leo_kim@inthenews.co.kr

배너

대우건설, SACE 보증 기반 2억 유로 자금 조달 성공

대우건설, SACE 보증 기반 2억 유로 자금 조달 성공

2025.09.09 12:54:40

인더뉴스 제해영 기자ㅣ대우건설(대표이사 김보현)은 이탈리아 재정경제부 산하 수출보험공사(SACE)의 보증을 기반으로 2억 유로(약 3259억원) 규모의 외화 차입금을 조달했다고 9일 밝혔습니다. 이번 금융 약정은 글로벌 금융기관 나틱시스(Natixis CIB)가 주간사이자 대주, 구조화 대리기관으로 참여했으며, 차입 약정 만기는 최초 인출일로부터 3년입니다. SACE는 자국 기업의 수출 확대를 지원하는 이탈리아 공적 수출신용기관으로, 이번 거래에서는 ‘푸시 전략(Push Strategy)’을 통해 대우건설의 차입금에 대한 보증을 제공했습니다. 미칼 론 SACE 국제사업 총괄대표는 “대우건설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이탈리아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기회가 더욱 확대될 것”이라며 “정기 매치 메이킹 이벤트를 통해 실질적인 협력 기회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에마뉘엘 지예-라가르드 나틱시스 아시아태평양 대표는 “이번 거래는 한국 기업을 대상으로 한 첫 번째 유로화 표시 SACE 푸시 전략 금융으로, 한국과 이탈리아 간 무역 협력 확대에 기여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대우건설은 이번 협업이 단순한 자금조달을 넘어 글로벌 프로젝트 수행 역량과 조달 능력이 세계 시장에서 신뢰받고 있다는 것을 입증한 사례라고 강조했습니다. 회사는 이미 국내외 프로젝트에서 이탈리아 기업과 장비 및 자재 구매, 기술 협력을 진행해왔으며 이번 협력을 계기로 협업 기회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대우건설은 최근 글로벌 자금조달 성과도 잇따라 거두고 있습니다. 2023년 이슬람 채권인 수쿠크 발행을 시작으로 2024년 3월에는 아시아개발은행 산하 CGIF 보증을 통해 싱가포르에서 자금을 조달했으며, 올해 4월에는 ESG 경영 강화를 바탕으로 그린본드를 발행했습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해외에서 안정적인 금융 기반을 구축해 글로벌 기업과 협력 및 시장 진출을 확대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조달 방식과 협력 모델을 통해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