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김현우 기자ㅣ 대표적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금(金)의 몸값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코로나19 여파로 불어닥친 경제쇼크를 진화하기 위해 주요국들이 막대한 규모로 양적완화를 실시하면서 화폐 가치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자 상대적으로 금의 가치가 높아지는 모습이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KRX 금 현물 시장에서 1kg짜리 금 현물의 1g 가격은 외국인투자자들이 한달여만에 주식시장으로 돌아오면서 지난 16일 2% 가량 급락했지만 이날 기준으로는 6만 8220원을 기록했다. 이는 2014년 4월 KRX금시장 개설 이후 최고가다. 2011년 9월 기록한 역대 최고치(6만 8311원)에도 근접한 상태다.
국내에서 코로나19 첫 확진자가 발생한 1월 20일에 금값은 5만 8150원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3개월만에 1만원 가량이 뛴 것이다.
이는 코로나19 사태로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들이 양적완화정책을 쏟아내는 데 기인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제로금리에 이어 무제한 양적완화 조치를 내놨다. 사실상 한계없이 달러를 무제한으로 찍어내겠다는 의미다. 이밖에 유럽, 일본, 중국 등 주요국들의 대규모 재정지원책들이 쏟아지고 있다.
시장에서는 이로 인해 화폐가치가 하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며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모습이다. 이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비슷한 양상이다.
당시 미국은 경기부양을 위해 천문학적 돈을 시장에 풀었고, 이에 달러 가치는 고꾸라졌다. 같은 기간 금 값은 치솟다가 2011년 9월 사상 최고치를 찍은 바 있다.
한편 코로나19 국면에서 연일 뛰던 금값이 3월 초 급락세를 보이기도 했다. 이는 위험자산인 주가 하락으로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는 높아졌으나 ‘믿을 건 역시 달러뿐’이라는 인식이 작용해 금이 아닌 달러에 자금이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최진영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도 여타 자산시장에서의 마진콜에 대비한 현금 보유 수요와 정책적 대응 개시 시점에서 금 가격은 급락했다”며 “그러나 이후 저금리와 풍부한 유동성 환경이 갖춰지면서 대세 상승이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금은 안전자산이기도 하지만 무이자 자산이자 인플레이션 헤지 자산”이라며 “단기성에 지나지 않는 안전자산 선호심리보다는 중앙은행들의 정책 방향이 금 가격에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