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최고의 키워드는 ‘코로나19’라는 것에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없을 겁니다. 한국은 물론 전 세계가 감염병과의 사투를 벌이고 있는데요. 코로나 바이러스가 언제 사라질 수 있을 지 아직은 예측조차도 되지 않는 상황입니다.
인더뉴스가 구석구석을 살펴보니 기업들은 사업방식을 바꾸고, 미래사업에 대해 투자를 계획하는 등 각자 방식으로 생존을 모색하고 있었습니다. 이와 동시에 코로나 이후 패러다임의 변화를 대비해 전략을 수정하거나 미래사업을 전망하고대비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인더뉴스는 ‘코로나 극복! 생존 전락’을 통해 감염병 재난속에서 고군분투하고 있는 기업들의 노력을 담은 시리즈기사를 기획했습니다. 재난의 빠른 종식과 건강하고 평화로웠던 일상으로 복귀를 기원합니다.편집자주
인더뉴스 이진솔·남궁경 기자 | 제약·바이오 산업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발생 이전과 이후로 나뉠 만큼 위상이 급격히 달라졌습니다.
국내외 코로나19 관련 기업 주가는 치료제와 백신 개발 소식에 크게 움직였고, 중소 바이오텍 시가 총액은 급증했죠. 또 ‘K바이오’ 가치를 재발견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습니다.
이에 정부는 K바이오 성장을 위한 정책과 자금 지원 계획을 내놓으며 신약개발과 해외진출을 독려하고 있는데요. 업계에서도 연구개발비(R&D)을 전년 대비 올리는 등 공격적인 투자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 정부, 바이오헬스 육성 의지 높아..쏟아지는 자금 지원
지난 7월 정부는 ‘국가신약개발사업(2조2000억원)’과 ‘범부처 재생의료 기술개발사업(약 6000억원)’ 등 2개 사업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시켰습니다.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을 위해 10년간 2조 8000억원을 투입하는 대형 사업 계획입니다.
국가신약개발사업은 기초연구부터 비임상, 임상, 제조·생산까지 신약개발에 필요한 단계별 과정을 전주기에 걸쳐 지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정부는 앞으로 10년간 연 매출 1조원 이상을 올리는 블록버스터급 국산 신약 개발 지원에 나설 계획입니다.
범부처 재생의료 기술개발사업은 세포치료, 유전자치료, 조직공학치료 등 재생의료 분야 핵심 기초·원천기술부터 치료제·치료기술 임상단계까지 전주기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내년부터 10년간 총 5955억원 규모(국비 5423억원) 연구개발비가 투입됩니다.
지난 5월에는 보건복지부가 1000억원 규모 펀드를 조성하며 바이오헬스분야 기업에 자금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는데요. 당시 임을기 보건복지부 해외의료사업지원관은 “코로나19로 전 세계가 주목하는 국내 바이오헬스산업에는 기회가 될 수 있다”라며 “펀드를 통해 자본이 부족한 기업에게 유용하게 활용되길 희망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2013년부터 5차례에 걸쳐 국내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과 해외진출 지원에 800억원을 출자했는데요. 복지부는 ▲지놈앤컴퍼니(미국 1상 임상 준비) ▲에비엘바이오(미국에 11억 4000만 달러 규모 기술이전) ▲제이엘케이(국내 1호 의료영상기반 인공지능 진단기기) ▲지노믹트리(대장암·코로나19 진단키트 개발) 등이 자금을 지원받았으며, 현재까지 총 4350억원 규모 펀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상반기 셀트리온 연구개발비용에 1418억원 지출..광동제약 53억으로 7위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도 연구개발비 늘리기에 한창입니다. 올해 상반기 상위 매출을 올린 제약사 반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제약사(셀트리온헬스케어 제외) 7개 중 6곳이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용 비율 두자리 수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선두는 셀트리온입니다. 회사는 올해 상반기 연구개발비용으로 약 1418억원을 지출하며 7개 기업 중 1위를 차지했는데요. 상반기 매출액 대비 약 17.70%에 달하는 수치입니다.
셀트리온은 오는 2030년까지 매년 바이오시밀러 제품을 최소 1개 이상 출시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지난 3월에는 고농도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CT-P17' 유럽 판매 허가를 신청했습니다. 또 코로나19 항체 치료제에 대한 임상 2·3상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셀트리온에 이어 연구개발 투자액 2위를 차지한 한미약품은 상반기에 약 1023억원을 투자했습니다.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율은 19.2%로 조사 대상 업체 중 가장 높습니다.
공격적인 투자는 실제 결과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73건에 달하는 의약품 특허수는 2위인 종근당(61건)보다 10건이 많습니다. 또 적극적인 연구비 투자로 신약 개발 소식도 가장 많습니다.
이달 초 한미약품은 먹는 항암 합성 신약후보 물질 ‘오락솔’이 미국 식품의약품안전국에서 우선심사 대상으로 지정받았다고 밝혔습니다. 항암신약 ‘포지오티닙’ 글로벌 임상 2상 코호트2 연구 결과에서도 성과를 냈다고 설명했습니다.
7개 기업 중 가장 적은 지출을 한 광동제약은 연구개발비용에 약 54억원을 투입했는데요. 회사 측은 “연구개발 역량강화를 위해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한 협력을 확대하고 해외 거래선과 파트너쉽 확대를 통한 제품도입 개발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라고 했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제약·바이오산업은 연구·개발이 시장의 성패를 좌우하는 기술집약적인 산업으로 선도자가 시장을 독식할 가능성이 높은 분야”라며 “연구·개발 성과는 시장 점유율 향상으로 직결되며, 연구·개발이 곧 산업으로 기술창업·이전 등 다양한 경제적 효과가 창출될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GC녹십자와 종근당은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율 약 10% 이상을 집행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지난해와 비교해 각각 3.2%, 1%가량 투자 비율을 낮췄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