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전건욱 기자ㅣ카드사들이 이달 들어 만기 3년 이상의 장기 기업어음(CP) 발행을 늘리고 있습니다. 만기 구조를 다변화하고, 조달 통로를 분산해 안정적으로 자금을 구하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3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현대카드는 지난 28일 만기 3~3.5년의 장기 CP 3000억원어치를 발행했습니다. 롯데카드도 같은 날 총 2500억원을 장기 CP로 조달했습니다. 만기는 3년입니다.
앞서 27일에는 신한카드가 1000억원 규모의 만기 3~4년짜리 장기 CP를 발행했습니다. 신한카드는 이달 13일에도 장기 CP를 통해 1000억원을 구했습니다.
이들의 공통점은 만기 3년 이상 자금을 구하면서 CP를 활용했다는 점입니다. 통상 CP는 급전이 필요할 때 쓰입니다. 그래서 만기가 1년 미만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럼에도 CP가 장기로 발행된 이유는 갑작스러운 자금조달 경색에 대응하기 위해섭니다. 사실 만기가 짧을수록 금리도 낮아 3년짜리를 한 번 찍는 것보다 1년 만기로 세 번 발행하는 게 비용 측면에서 낫습니다.
하지만 코로나가 본격화된 지난 3월 실적 악화를 우려하는 기관들의 수요가 줄면서 운전 자본을 제때 구하지 못하는 상황을 겪자 긴 기간 안전하게 자금을 쓸 수 있도록 포트폴리오를 짜는 게 더 유리하다고 판단한 겁니다.
카드사 관계자는 “단기로 자금을 구할 시 자금시장이 얼어붙으면 차환이 어려워질 수 있다”며 “안정성이 최우선인 금융기관은 만기를 다양하게 가져가는 방식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게 전략적”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렇지만 의문은 남습니다. 3년 넘게 쓸 돈이 필요하다면 회사채로 구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카드사들은 금융당국의 권고에 따른 거라는 입장입니다.
다른 카드사 관계자는 “자금조달 구조를 다변화하라는 당국의 지침이 있었다”며 “회사채로 조달 경로가 치우치면 인수기관에서 문제 발생 시 카드사로 위험이 옮겨붙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습니다.
실제 올 2분기 기준 7개 전업카드사는 전체 자금의 61%를 채권 발행으로 충당하고 있습니다.
일부에선 최근 CP 수요가 늘고 있는 점도 한 몫했다고 분석합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같은 만기 구조에선 CP가 회사채 금리보다 높은 게 일반적인데 최근 시장 흐름을 보면 거의 비슷한 수준”이라며 “CP 수요가 충분하다는 걸 방증하는 사례”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안정적인 자금 융통을 원하는 공급측 요인과 장기 CP를 찾는 수요측 요인이 맞물리면서 이 같은 흐름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