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유은실 기자ㅣ“얼마 지나지 않아 ESG(환경·사회·지배구조)라는 용어를 별도로 쓰지 않게 될 겁니다. 모든 곳에서 당연해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신진영 한국기업지배구조원장은 지난 17일 열린 ‘ESG 시대로의 대전환과 자본시장의 미래’에서 코로나19 이후 뉴노멀로 자리잡은 ESG에 대해 이같이 강조했습니다. 과거 사회공헌사업의 일부나 착한 이미지를 만드는 방법쯤으로 여겨지던 ESG가 기업의 필수 생존전략으로 자리매김한 겁니다.
코로나19 위기를 전환점으로 금융권 수장들도 ‘ESG 없이는 성장·투자도 없다’고 선언하고 나섰습니다. 금융권은 현재 조직·인력·상품 모든 면에 ESG를 적용하고 있는데요.
인더뉴스에서는 착한금융을 넘어 지속가능한 성장의 핵심요소로 부상한 ESG, 금융권의 새 패러디임이자 기준을 들여다봅니다.
◆ 포스트코로나 시대, 금융그룹 新전략 ‘ESG’
포스트코로나 시대엔 기업의 재무적 요소뿐 아니라 환경·사회·지배구조 등 비재무적 요인이 점점 더 중요해질 것이라는 판단이 전 세계에서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 분야에서 가장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EU의 경우 지난 10일부터 ‘지속가능 금융공시규제’를 적용했습니다. 금융권에서 ESG가 제도화된 첫 사례입니다.
ESG가 세계적인 메가트렌드로 부상하면서 미국도 최근 금융기관의 ESG점검 강화 방침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국내 금융기관이 글로벌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ESG에 대한 준비가 필수가 된 겁니다.
ESG는 금융그룹의 ‘성장 돌파구’로도 주목됩니다. 주식형 펀드 중 ESG 펀드 설정액은 연초 이후 4300억원으로 껑충 뛰어올랐습니다. 주식형 펀드의 설정액에서 올해 들어 1조 2000억원이 빠져나간 것과는 대조적입니다. ‘녹색’, ‘ESG’가 들어간 채권들도 흥행가도를 달리고 있습니다.
또한 ESG는 최근 금융권에 뛰어든 빅테크와의 경쟁에서 살아남는 무기이기도 합니다. 자본력과 전문성 측면에서 빅테크·핀테크가 ESG를 당장 시작,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 빅테크 관계자는 “핀테크를 기반으로 성장한 일명 뱅크들은 금융지주에 비해 자본력이 낮고 은행업에 조금 더 매진해야 하는 시기”라며 “금융지주가 하고 있는 ESG 수준을 시행하긴 어렵지만, ESG가 대세가 된 만큼 분명히 고민해야 하는 분야 중 하나”라고 진단했습니다.
◆ 금융권, 新화두로 ‘탄소중립·문제해결·ESG조직’ 부상
이에 따라 금융권에서 주로 다루는 ESG의 주제도 변화하고 있습니다. 환경(E) 분야에서 눈에 띄는 변화는 탄소배출에서 ‘탄소중립’으로 가치의 저울추가 넘어갔다는 겁니다. 문재인 정부가 석탄발전소 퇴출 등이 담긴 ‘2050 탄소중립’을 발표하면서 KB금융·신한·우리금융 등 금융지주들도 탈석탄 흐름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미진했던 사회(S)분야의 경우 데이터 보호에서 ‘개인정보 주권’으로, 금융지원에서 ‘사회·환경 문제해결 위한 지원’으로 논의가 집중되고 있습니다. KB·신한·NH·우리 등 금융지주들은 금융회사에 흩어져 있는 개인정보 주권을 개인에게 돌려주는 마이데이터 사업에 뛰어들었고, 아동학대·환경·소셜벤쳐·해양오염 등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
지배구조(G)에 대한 변화에도 가속페달을 밟고 있습니다. 과거 이사회나 감사위원회에서 ESG가 잠시 논의됐다면, 현재는 ESG 전담 부서들을 만들고 해당 업무에 대한 전문성을 키우고 있습니다. 금융권의 경우 내부통제, 최고경영자, 위험관리 등도 지배구조 관련한 주요 이슈입니다.
신한금융(회장 조용병)은 최근 ESG를 내재화하고 사업을 발굴해 각 그룹사 성과 체계에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KB금융지주(회장 윤종규)는 이사회 내 ESG위원회를, 우리금융(회장 손태승)은 금융지주사 최초로 이사회 내 ‘내부통제관리위원회를 신설했습니다. 하나금융(회장 김정태)은 이사회에서 위험관리, 소비자보호 등을 직접 점검할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