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과거 ‘초콜릿폰’ 신화를 썼던 LG전자(대표 권봉석)가 스마트폰 사업을 26년 만에 접었습니다. 특히 LG전자는 2000년대 후반, 경쟁사보다 스마트폰 시장 진출이 늦어진 등의 이유로 경쟁력이 뒤쳐지기 시작한 것이 26분기 연속 적자, 누적 적자 5조원이란 불명예를 안고 사업부를 철수하게 됐습니다.
5일 LG전자는 이날 오전 이사회를 열고 “휴대폰 사업의 방향성을 놓고 면밀하게 검토해왔는데, 7월 31일자로 휴대폰 사업을 종료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국내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은 삼성전자와 애플의 양강체제가 굳어진 가운데, 최근엔 보급형 스마트폰도 출시하면서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LG전자의 입지가 더욱 좁아졌습니다. 이런 가운데, LG전자가 전격 철수를 결정하면서 국내 기업인 삼성전자의 독주 체제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시장은 이미 기울어진 운동장입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 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2월 국내 스마트폰 시장에서 LG전자의 점유율은 10%대로 작년 같은 시기보다 낮아졌습니다. 지난해 1월과 2월 LG전자 스마트폰 점유율은 각각 18%, 14%를 기록했는데 올해 4~8%p 가량 떨어진 것입니다.
반대로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작년 1월 56%에서 올해 1월 61%로 5%p 상승했고, 2월 역시 전년보다 4%p 상승해 69%를 기록해 쏠림현상은 더욱 심화했습니다. 업계는 올해 1월 출시한 갤럭시 S21 시리즈에 이어 LG전자의 스마트폰 철수설까지 겹치면서 삼성전자 스마트폰 판매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LG전자는 “(스마트폰 경쟁 대응 미흡 등)시장 상황 속에서 선택과 집중을 통해 핵심사업에 역량을 집중한다”면서 LG전자는 “미래 성장을 위한 신사업 준비를 가속화해 사업구조를 개선할 계획이다”고 설명했습니다.
업계 안팎에서는 LG전자가 스마트폰 사업을 접는 대신 어느 쪽으로 화력을 이동시킬지 주목하고 있습니다. 최근 구광모 LG 대표가 전기차 분야에 올인하고 있는 가운데, 미래차 사업에 박차를 가할 것이란 분석입니다. 현재 LG전자는 그룹의 전기차 전략에 주춧돌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LG전자는 지난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4조원 이상 자동차 부품 사업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아직까지 이러다할 사업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지만, 올해 흑자 전환에 성공하고, 오는 2024년까지 매년 15%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현재 LG전자는 전기차의 핵심인 모터나 인버터 등 구동시스템 생산은 물론 내비게이션, 차량용 오디오를 포함한 인포테인먼트 부품도 생산하고 있습니다. 최근 LG전자는 스위스 소프트웨어 기업인 ‘룩소프트’와 VS사업 합작사 ‘알루토’를 출범해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장에 본격 뛰어들었습니다.
앞서 LG전자는 세계 3위 자동차 부품업체인 ‘마그나인터내셔널’과 함께 올해 7월 전기차 파워트레인 분야 합작법인을 세우기로 했습니다. 업계 안팎에서는 합작법인 설립 전부터 LG마그나가 애플카 생산을 위탁받을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특히 LG전자는 지난 26년 동안 쌓아온 휴대폰 핵심 기술력 등 원천특허기술을 미래사업에 적극 활용하겠다는 방침입니다. 모바일 분야에서 축적해 온 핵심 원천기술과 지식재산권(IP), 특허 등도 내재화를 통해 미래 신사업에 상당 부분 활용할 전망입니다.
LG전자는 MC사업본부 인력을 전장(VS)사업본부나 LG마그나 이파워트레인, LG에너지솔루션 등 전장·배터리 계열사로 전환 재배치해 고용을 유지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LG전자는 “6G 이동통신, 카메라, 소프트웨어 등 핵심 모바일 기술은 차세대 TV, 가전, 전장부품, 로봇 등에 필요한 역량이다”면서 “신사업의 경우 사내벤처 CIC(Company in Company: 사내회사) 등 혁신적인 프로세스를 도입하고, 역량 확보를 위한 인수합병(M&A), 전략적 협력 등도 적극 검토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