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이승재 기자ㅣSK텔레콤이 서로 다른 업체의 클라우드를 2개 이상 사용하는 기업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새로 내놨습니다.
SK텔레콤(대표 박정호)은 구독형 클라우드 전용 네트워크 서비스인 ‘SKT 클라우드 허브(SKT Cloud Hub)’를 출시했다고 26일 밝혔습니다.
‘SKT 클라우드 허브’는 AWS, MS Azure(애저) 등 서로 다른 업체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2개 이상 이용하는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합니다. 클라우드 허브는 기업 고객이 하나의 회선으로 최적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전용 네트워크 통합 솔루션입니다.
일반 인터넷이 아닌 전용회선을 이용해 클라우드를 이용하는 기업들은 클라우드마다 개별적으로 회선을 구축하고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습니다.
SKT는 지난 1월 AWS·MS 등 국내외 CSP(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들과 전략적 제휴를 체결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클라우드 허브와 전용회선 서비스를 제공해 멀티 클라우드를 이용하는 기업들에게 편의성·안정성·비용 절감까지 가능하게 합니다.
SKT 클라우드 허브는 구독형 서비스로 이용 기업이 자사 서버를 CSP 클라우드 별로 일일이 개별 접속할 필요 가 없습니다. 클라우드 허브를 통해 한 번만 연결하면 되는 전용회선을 통해 별도의 네트워크 장비 구매 없이도 즉시 이용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또 고객사가 클라우드 전환을 위해 직접 네트워크 장비를 구축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구축 시간도 최소 8주 정도 아끼는 것이 가능합니다
SK텔레콤은 “SKT 클라우드 허브는 기업이 개별적으로 전용회선을 구축해 운영할 때와 비교해 약 80% 수준의 비용 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기업이 클라우드를 새롭게 도입하려면 네트워크 장비 구매·공간 임대 등 구축비용이 발생하지만, SKT 클라우드 허브는 구독형으로 월 이용료만 내면 되기 때문입니다.
SKT는 국내 클라우드 기술기업 베스핀글로벌과 공동 개발한 AI(인공지능)기반의 클라우드 사용 비용 절감 기술인 ‘CMP(클라우드 관리 플랫폼)’ 활용합니다. 이로써 고품질의 멀티 클라우드 연결 및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 예정입니다.
SKT 클라우드 허브는 전용회선과 양자암호 기술을 적용해 해킹 가능성을 원천 차단합니다. 함께 제공되는 전용회선 서비스는 클라우드 서비스만을 위한 독립적 회선으로 네트워크의 모든 경로에 대한 제어가 가능합니다.
SKT는 처음으로 양자암호 기술을 5G(5세대)에 적용한 기업으로서 올해 클라우드 전용 네트워크에도 양자암호 기술을 적용할 계획입니다.
SKT는 최근 마이데이터 사업을 준비하는 금융권, 커머스 사업자 등에게 높은 효용성을 가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양자암호 기술이 적용되면 개인 정보·결제 정보 등의 중요한 정보를 다룰 때 해킹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SKT 클라우드 허브는 현재 AWS·MS 애저에 적용 가능하고 올해 구글 클라우드 와 네이버 클라우드 등으로 적용대상을 확대할 생각입니다.
최일규 SKT Cloud CO장은 “SKT는 5G MEC,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 MSP는 물론 클라우드 네트워크 등 클라우드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플랫폼 사업자로 발돋움했다”며 “클라우드로 IT인프라의 고도화 및 경쟁력을 올리는 기업들의 동반자가 되겠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