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정석규 기자ㅣ카드사에 적립된 고객의 포인트가 사용되지 못하고 사라지는 일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22일 더불어민주당 김병욱 의원(분당 을)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전업 카드사 포인트 현황’자료에 따르면 사용하지 않은 포인트 잔액은 약 2조 원에 이릅니다.
현금화되는 포인트는 월평균 700억 원 정도입니다. 올 상반기 5000억 포인트가 현금화됐지만 잔액은 2조 원 가까이 유지되고 있으며 매월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포인트는 카드사의 전통적인 마케팅 수단입니다. 하지만 매년 3조 원에 달하는 적립에 비해 활용도는 매우 낮은 실정입니다. 카드 포인트 적립액은 2017년 2조 6000억 원에서 매년 증가 추세입니다.
2019년 3조 원이 넘었고 2021년엔 6월까지만 1조 6000억 원이 적립됐습니다. 매년 사용되고, 소멸되는 포인트를 제외하면 2조 가까운 포인트가 방치되고 있습니다.
카드 포인트는 여러 카드사에 흩어져 있어서 잊어버린 채 만료돼 사라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포인트에는 5년의 소멸시효가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매년 1000억 원의 포인트가 소멸되고 있습니다.
포인트 활용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현금화는 물론, 카드 결제대금으로 활용하거나 기부, ATM 출금, 심지어는 주식투자도 가능하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포인트 사용처나 활용법은 모르고 있습니다. 현금화 되는 포인트는 매월 700억 원에 불과합니다.
2021년 6월 시점에서 포인트 잔액은 현대카드가 5888억 원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다음으로 ▲신한카드 3983억 원 ▲하나카드 2567억 원 ▲KB국민카드 2489억 원 ▲삼성카드 2289억 원 ▲우리카드 1271억 원 ▲롯데카드 656억 원 ▲비씨카드 641억 원 순서입니다.
금융당국은 카드사별 잔여 포인트, 소멸 예정 포인트, 소멸 예정일 등의 정보를 일괄조회하는 서비스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 ‘금융소비자포털 파인’, 여신금융협회 ‘카드 포인트 통합조회’, 금융결제원 ‘어카운트 인포’ 어플 등입니다.
카드사 홈페이지나 콜센터, 스마트폰 앱 등으로 포인트 현금화 신청이 가능하며, 여신금융협회 ‘카드포인트 통합조회 서비스’나 ‘어카운트인포’ 서비스로 조회와 계좌입금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서비스 편의성에 비해 현금화 실적은 부족합니다. 특히 고령층의 경우 홈페이지와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조회 및 신청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대안이 필요합니다.
김병욱 의원은 “카드사 포인트로 잠자는 2조 원이 소멸되기 전에 제 주인을 찾아가야 한다”며 “인터넷과 모바일 이용이 어려운 고령층도 편리하게 조회·현금화가 가능하도록 적극적인 홍보와 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