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정석규 기자ㅣ정부의 대출 규제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습니다.
10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2021년 10월중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6조 1000억원 증가했습니다. 전월(7조 8000억원)보다 증가폭이 줄어든 모습입니다.
지난달 전 금융권 가계대출 잔액의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8.6%입니다. 가계대출 증가율은 올 3월 8.5%에서 지난 4월 10%까지 확대된 이후 줄곧 9~10% 수준이었지만 지난달 다시 8%대로 내려왔습니다.
대출항목별로는 주택담보대출(이하 주담대)와 기타대출 모두 증가세가 완화됐습니다. 지난달 전 금융권 주담대는 5조 3000억 원 증가해 전월(6조 7000억 원)보다 1조 4000억 원 줄었습니다. 금융위는 주요 원인을 주택거래량 감소라 지목했습니다. 실제 전국 주택거래량은 지난 6월 이후 8만 9000호를 유지하다 지난 9월 8만 2000호로 줄었습니다.
기타대출은 지난달에 비해 8000억 원 늘었습니다. 신용대출 외 여타 대출 증가액이 1000억 원 낮아지며 전월(1조 2000억 원) 대비 증가폭이 축소됐습니다.
업권별로 살펴보면 은행권 가계대출은 5조 2000억 원 늘어 전월(6조 4000억 원)에 비해 증가폭이 1조 2000억 원 낮아졌습니다.
은행권 주담대는 주택 전세·매매 거래량 감소 등으로 4조 7000억 원 늘어 전월(5조 6000억 원) 대비 증가폭이 축소됐습니다. 은행권 신용대출은 6000억 원 증가했습니다. 10월중 영업을 개시한 토스뱅크의 증가액(5000억 원)이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9000억 원 증가했습니다. 전월(1조 5000억 원)에 비해 감소한 증가폭입니다. 금융위는 상호금융(조합원간의 금융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조합금융)의 증가액이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했습니다.
금융위는 정부의 고강도 대출 규제로 주택 전세·매매 거래량이 줄어 주담대·기타대출 모두 증가폭이 둔화된 것으로 풀이했습니다.
금융위 관계자는 “가계대출은 올 7월을 정점으로 증가세가 점차 둔화되며 안정을 찾아가는 추세”라며 “금융당국은 지난달 26일 발표한 가계부채 관리 강화방안의 차질없는 시행 등으로 가계부채 연착륙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