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홈플러스(사장 이제훈)는 올해 사회공헌 활동 전반을 점검하며 ‘ESG 경영 선도 기업’으로서의 행보를 이어간다는 방침을 20일 밝혔습니다.
MBK파트너스 인수 이후 친환경 경영을 강조해온 홈플러스는 지난 8월 ‘홈플러스 ESG 위원회’ 출범을 기점으로 ESG 경영 원년을 선언한지 4개월여 만에 ESG 경영 전사적 내재화를 선언했습니다.
ESG 위원회가 이달 첫 선을 보인 ‘Homeplus All For Zero - 함께 나누고 함께 줄이고’는 홈플러스 ESG 캠페인 브랜드로 운영됩니다. ‘다음 세대를 위해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가는 책임 있는 유통회사’의 비전과 ‘친환경과 나눔의 가치 확장을 통한 지속 가능한 세상 구현’이라는 목표를 담았습니다.
향후 5개년 중점 추진 사업은 탄소 중립(폐기물 감축·온실가스 감축)과 커뮤니티 기여(교육기부·나눔·착한 소비) 등 과제를 확정했습니다.
홈플러스의 올해 ESG 키워드는 ‘환경’입니다. 홈플러스 온라인이 지난 7월 ‘녹색매장’으로 지정되며 업계 최초로 대형마트(52개점)·익스프레스(1개점)·온라인 등 전 포맷이 환경부 녹색매장 인증을 받았습니다.
‘탄소 중립’은 상품 개발 단계에서부터 실천했습니다. 무라벨 생수·우유팩 재활용 화장지 등 친환경 상품 출시를 확대하고, 포장 용기 등 소비 단계에서 발생하는 플라스틱 폐기물만 연간 약 30톤 줄였다는 설명입니다.
이외에도 에너지 절감을 위한 온라인 배송차량 전기차 22대를 14개점에 시범 도입하고, 현재까지 전기차 충전소 설치(93개점), 고효율 LED 조명 설치(137개점), 전자 가격표 적용(17개점)을 완료했습니다.

‘환경 교육·캠페인’ 프로그램으로는 ‘e파란 어린이 환경 그림대회’가 대표적입니다. 올해 처음 ‘언택트 공모전’으로 진행된 이 대회에 1만1269명의 어린이가 참가했습니다. 지난 6월에는 ‘클린 디쉬’ 잔반 제로 캠페인을 전개하고, 문화센터 121개점에서 연간 500개의 환경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했습니다.
오는 21일에는 서울시와 손잡고 포장재 없는 친환경 소비문화 확산을 위한 ‘제로마켓’ 1호점을 홈플러스 월드컵점에 엽니다. 리필 스테이션, 친환경 생활 용품 및 자원 순환 존을 구성했습니다.
홈플러스는 지역 소외계층을 지원하는 나눔 활동을 이달 내 확대 전개합니다. 112명의 어린이를 위해 직원들이 직접 쓴 손편지와 크리스마스 선물을 전달하고, 61개 대형마트 직원 600여명이 크리스마스 과자 파티팩으로 ‘나눔 플러스 박스’ 3050개를 만들어 지역아동센터 122개소에 전달합니다.
상생을 위한 지원도 이어집니다. 마이홈플러스 앱을 통한 라이브 커머스 ‘홈플 라이브’ 채널을 활용해 ESG 경영의 일환으로 기획한 ‘사회적경제기업 광주 상품 패키지 편’ 접속자 수는 1만8300명을 기록했습니다. 지난 17일에는 김포 풍무점에 ‘사회적경제기업 상생샵’ 경기 1호점을 오픈한 바 있습니다.
아울러 기부 활동도 지속해왔습니다. 홈플러스 e파란재단을 통해 상품 41만여 점을 ‘아름다운가게’에 기증하고 롯데칠성, LG전자와 함께 기부 전용 상품을 개발해 판매 수익의 일부를 기부하는 ‘착한 소비’ 행사를 마련했습니다.
오는 25일까지 ‘아름다운가게’ 106개점과 홈플러스 강서점 쇼핑몰 공간에서 기부 상품을 판매하는 ‘홈플러스 나눔 특별전’을 진행합니다. 이 행사로 마련한 수익금 일부는 어린이 교육과 백혈병소아암어린이 돕기에 사용됩니다.
이제훈 홈플러스 사장은 “유통업의 특성과 연계한 전사적 차원의 ESG 경영 체계를 완성함으로써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해왔다”며 “지속 가능한 ESG 경영을 선도해 ‘고객이 응원하는 회사’, ‘직원이 자부심을 느끼는 회사’를 만들어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