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서울 내 빌라 가격이 1년 전 대비 33.3%가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상승률로만 봤을 경우 아파트를 상회하는 수준입니다.
아파트 가격의 급등과 대출 규제, 아파트 청약 경쟁 상승 등으로 인해 규제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빌라로 내 집 마련의 타깃이 옮겨지며 가격 상승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22일 한국부동산원의 연립다세대 평균매매가격 통계에 따르면, 서울의 올해 11월 평균 연립다세대 매매가는 3억 5203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년 동월 대비 약 1억 4000만원 상승했으며, 상승률은 33.3%입니다.
특히, 같은 기간 서울 평균 아파트 가격 상승률이 29%(8억 9027만 원 → 11억 4829만 원)인 것과 비교해 봤을 경우 4% 가량 더 높습니다.
서울 권역별로는 ‘강남 3구’ 등 동남권역이 42.9%(3억 6540만 원 → 5억 2216만 원), 종로, 중구, 용산 등 도심권역이 42.0%(3억 5104억 원 → 4억 9850억 원)로 두드러진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은평, 서대문 등 서북권역은 19.3%(2억 5722억 원 → 3억 696억 원)로 상승률이 가장 낮았습니다.
서울과 경기, 인천을 합친 수도권 또한 가격 상승률이 30%를 넘었습니다. 수도권의 연립다세대 평균 매매가는 2억 6391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2억 21만 원) 대비 31.8%의 상승률을 나타냈습니다.
경기도의 경우 평균 2억 303만 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26.2%의 상승률로 조사됐습니다. 성남, 과천 등이 포함된 ‘경부1권’은 전년 대비 무려 70.6%가 뛰어오른 기록적인 상승률을 보이며 4억 6838만 원의 매매가를 나타냈습니다.
아울러, 올해 11월 전국 연립다세대 평균 매매가격은 2억 583만 원으로 전년 동월 평균 매매가인 1억 7064억 원과 비교했을 때 20.6% 뛰었습니다. 지방의 경우 전년 동월 대비 11%의 상승률을 보이며 1억 623만 원의 매매가로 집계됐습니다.
부동산 업계는 빌라가 환금성이 낮아 매매가 잘 이뤄지지 않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아파트 가격의 상승으로 매수에 어려움을 겪는 수요자들의 발걸음이 옮겨져 가격 상승도 급물살을 탄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아파트값 급등과 청약 경쟁률 상승으로 내 집 마련에 어려움을 겪는 무주택자들이 빌라로 눈길을 돌리는 현상으로 가격 상승률 또한 비례한 것으로 보인다”며 “고가 주택 등에 대한 대출 규제 등의 정책 또한 빌라 수요 러시를 이루게 하며 가격 상승률을 기록하는 데 적잖은 몫을 차지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