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수도권 아파트 매매가의 하락세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경기 의정부시와 하남시의 아파트 값이 떨어졌으며 동대문구를 비롯한 서울 4개 자치구는 상승세가 멈췄습니다.
6일 한국부동산원이 내놓은 1월 1주(1월 3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지난주 대비 0.02% 떨어진 0.03%로 집계됐으며, 서울, 수도권, 지방 또한 0.03%의 상승률로 보합권에 접어드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상승 지역은 전주 대비 14개 감소한 122개로 조사됐습니다. 보합 지역은 10개에서 19개, 하락 지역은 30개에서 35개로 증가했습니다.
서울의 경우 강북권은 지난 주 보다 0.01% 둔화된 0.01%의 상승률로 사실상 보합 추세로 전환했습니다. 강남은 전주 대비 0.01% 내려간 0.04%의 상승률을 나타냈습니다.
강북권에서는 동대문구와 성동구, 광진구, 성북구가 상승률 ‘0’으로 집계되며 이어오던 상승률 행진을 1년 7개월여 만에 마감했습니다. 지난해 12월 집값이 떨어진 은평구, 도봉구, 강북구는 -0.01%로 하락세를 유지했습니다.
용산구(0.05%)를 제외한 종로구, 중구 도심권 2개 자치구와 강북서부권의 서대문구, 마포구 또한 0.01%의 상승률로 실질적인 보합권에 진입했습니다.
강남권은 보합세를 유지한 관악구, 금천구와 함께 영등포구, 강동구가 지난 주 대비 각각 0.02%, 0.01% 하락한 0.01%의 상승률로 집계되며 상승세 둔화를 견인했습니다. 서초구가 가장 높은 상승률(0.07%)로 집계됐으며 강서구, 구로구(이하 0.06%)는 지난주 상승률을 유지했습니다.

경기도는 비자치구를 포함한 45개 시군구 중 25개에서 상승폭이 둔화됐습니다. 지난 주 둔화지역 수치인 33개보다 적으나 의정부시와 하남시가 아파트 값이 떨어지고 일부 지역의 경우 둔화폭이 두드러지며 전주 대비 0.02% 떨어진 0.02%의 상승률로 집계됐습니다.
의정부시는 민락2지구를 중심으로 급매물이 대거 출몰하며 -0.02%의 하락률로 전환됐으며, 하남시는 감이동과 신장동을 중심으로 집을 팔려는 사람들이 증가하며 -0.07%의 하락률을 기록했습니다. 수원 팔달구와 고양 일산서구도 상승률 ‘0’의 보합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방은 세종시(-0.41%)와 대구시(-0.05%)의 하락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대전시가 -0.06%의 하락률로 집값 내림세 대열에 합류했습니다. 대전시의 경우 둔산지구와 유성구를 중심으로 집값이 떨어지며 집 값 하강곡선을 긋게 됐습니다. 세종시는 24주 째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가계대출 조이기를 비롯한 강력한 부동산 규제로 거래 절벽이 심화되고 대선이 얼마 남지 않아 수요자들이 집 사기를 머뭇거리는 모습”이라며 “정부 또한 하향 안정세를 위해 주택 공급량을 늘리겠다고 입장을 내놓는 등 다양한 요소가 겹쳐 상승세가 둔화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