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정석규 기자ㅣ"이제는 경제정책 프레임을 과감히 바꿔 민간 주도로 창의적이고 질적인 성장을 도모해야 한다."
이창용 한국은행 신임 총재가 지난 21일 취임사를 통해 향후 한국은행 관련 정책 및 경제 전반에 걸친 소신과 해결해야 할 과제를 밝혔습니다.
이 총재는 먼저 "한국경제는 대전환의 기로에 서 있다"며 "과거와 같이 정부가 산업정책을 짜고 모두가 밤새워 일한다고 경제 성장을 기대할 수 없다"고 현재 한국의 경제상황을 진단 한 뒤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과 세계화의 후퇴 흐름이 코로나 이후 뉴노멀로 자리잡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 총재는 "신기술 확보 경쟁·지정학적 경제 블록화 등으로 국가간 갈등이 심화되고 정치·경제·안보 등 여러 이슈는 서로 연계되면서 국제정세는 더 복잡해질 것이다"며 "대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가 코로나 위기 이후 뉴노멀 전환 과정의 도전을 이겨낼 지 예측하기 어려운 시기다"고 우려했습니다.
이 총재는 "우리 경제가 올바른 선택을 하기 위해서는 민간 주도로 창의적으로 질적인 성장을 도모해야 한다"며 "소수의 산업과 국가로 집중된 수출과 공급망도 다변화하는 등 구조개혁의 필요성이 있다"고 제언했습니다.
빠르게 증가하는 가계부채와 정부부채에 대한 경고도 잊지 않았습니다. 이 총재는 "부채의 지속적인 확대가 자칫 거품 붕괴로 이어질 경우 엄청난 사회적 비용을 초래한다는 점을 우리는 과거 경험으로부터 알고 있다"며 "거시경제 안정을 추구하는 한국은행으로서 부채 문제 연착륙에 관심을 두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소득불평등 심화와 인구고령화는 청년 실업·노인 빈곤·지역간 불균형 문제 등 사회적 갈등을 키워 성장잠재력을 훼손시킬 수 있기에 이에 대한 해결책도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통화정책에 관해 이 총재는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와 미국의 예상보다 빠른 통화정책 정상화,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따른 중국 경기둔화 가능성 등이 통화정책의 어려움을 가중하고 있다"며 "성장과 물가 간 상충관계(trade-off)가 통화정책을 더욱 제약하는 상황에서 정교하게 균형을 잡아 정책을 운용할 때"라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이 총재는 한은이 해결할 3가지 숙제로 ▲전문성 공유 ▲외부와 소통 ▲글로벌 시각을 제시했습니다.
이 총재는 "국내 문제에 치우쳐 국제 사회 변화의 큰 흐름을 놓치고 있지 않은지 살피자"며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를 언급했습니다. 이 총재는 "CBDC의 경우 이에 따른 제반 환경변화가 공공 지급결제 인프라와 통화정책의 유효성 등에 큰 영향을 주는 만큼 우리의 생존 문제로 생각하고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마지막으로 한은 직원들의 처우 개선도 약속했습니다.
이 총재는 "개인의 사명감이나 보람 못지않게 인사·조직 운영과 급여 등의 만족도 중요하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며 "예산이나 제도 등 여러 제약으로 첫술에 배부를 수는 없겠지만, 하나 둘 씩 근무 여건을 개선하고 사기를 진작할 방안을 찾아보자”고 직원들을 격려했습니다.
이 총재는 국제통화기금(IMF) 근무 당시 조직 내 개개인이 전문성을 발휘했던 경험을 들어 "한은 직원 여러분들이 한국경제에 대해 각자 맡은 분야의 대표선수가 되자"고 당부했습니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문재인 대통령에게 임명장을 받고 공식 취임했습니다. 임기는 오는 2026년 4월 20일까지 4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