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서울 아파트값이 기준금리 인상 등으로 지속적인 하락세를 기록하는 가운데 서울 25개 구 중 노원구와 강북구의 아파트 가격 하락폭이 커지고 있습니다. .
30일 한국부동산원의 2022년 6월 넷째 주(6월 2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가격 변동률은 -0.04%로 지난 주보다 하락폭이 0.01% 늘었으며, 서울은 -0.03%으로 5주 째 내림세가 지속됐습니다. 경기도와 인천은 전 주 대비 내림폭이 각각 0.01%, 0.02% 심화되며 -0.05%, -0.08%의 하락률을 나타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상승 지역은 지난 주 53개에서 52개로 감소했으며, 보합 지역은 지난 주와 같은 14개를 나타냈습니다. 하락 지역은 109개에서 110개로 증가했습니다.
서울에서 가장 높은 하락률을 나타낸 노원구, 강북구(이상 -0.07%)는 일부 지역서 중저가 아파트를 중심으로 매물 적체 현상이 나타나며 하락세가 심화됐습니다. 은평구, 동대문구, 서대문구(이상 -0.05%)도 일부 지역서 물량이 쌓이는 현상으로 지난 주에 이어 연속으로 아파트 값이 떨어졌습니다.
성동구는 일부 초고가 단지에서의 거래에 힘입어 8주 만에 하락세에서 보합권으로 진입했습니다. 용산구는 매수량의 감소가 지속되는 모습으로 지난 주에 이어 연속 보합을 나타냈습니다.
서울권에서 유일한 상승률을 기록한 서초구(0.02%)는 서초동과 반포동 내 주요 아파트 단지에서 가격이 오르며 자치구 전체 상승세를 이끌었습니다. 강남구는 혼조세가 반복되는 모습으로 4주 연속 보합권에 머물렀습니다.

8주 연속 하락률을 나타낸 경기도는 가장 큰 폭으로 떨어진 화성(-0.19%)을 비롯해 용인, 광명(이상-0.13%), 수원, 의왕(이상 -0.12%), 오산(-0.09%), 하남, 광주(이상 -0.08%) 등에서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시흥(-0.05%)는 20주 연속 하락했으나 지난 주 대비 하락폭이 0.15% 축소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인천은 연수구(-0.23%)가 가장 큰 폭의 하락률을 보이며 광역권의 내림폭 확대를 이끌었으며 중구, 남동구(이하 -0.08%) 등 전 자치구서 아파트 값이 내려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전반적으로 신규 입주물량 확대와 상승 피로감이 지속되며 8주 연속 하락세가 이어졌습니다.
지방의 경우 지난 주보다 하락폭이 0.01% 확대되면서 -0.03%의 하락률을 나타냈습니다. 지방권의 하락세를 이끈 세종(-0.31%)과 대구(-0.19%), 대전(-0.08%), 전남(-0.06%)이 각각 49주, 33주, 26주, 19주 연속 아파트 값 내림세를 이어가게 됐습니다.
한국부동산원 측은 "서울은 전체적으로 추가 금리인상 우려와 매물 적체 영향 등으로 관망세 지속되고 거래심리 위축되며 하락세가 지속된 모습"이라며 "지방권 내 세종의 경우 신규 입주물량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현상으로 지난 주 보다 하락폭이 크게 확대됐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