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최근 주식시장이 개별주 장세에 본격 진입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위험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개선되고 구간이 짧은 순환매 양상이 이어지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에너지, 은행, 자동차, 조선, 필수소비재 내 선별적 접근이 유효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10일 신한금융투자는 코스피 지수가 2500포인트에 도달하면서 연저점 대비 9% 반등해 지난 6월 중순 수준으로 회복했다고 전했다. 반도체, 2차전지, 자동차, 헬스케어 등 증시 대표 업종들이 반등을 주도했지만 업종 간 순환매 구간이 짧게 이뤄졌다고 분석했다.
최유준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반등 초반에는 반도체, 자동차가 시세를 주도했다가 소프트웨어, 2차전지, 헬스케어 순으로 주도주가 이동하면서 개별 업종 호재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며 “최근 투자주체들이 실적, 정책 등에 기민하게 대응하며 손바뀜이 빨라졌다”고 설명했다.
신한금융투자는 빨라진 손바뀜과 시장 ‘온기’의 이동을 고려한다면 외국인 수급과 업종 간 수익률 및 밸류에이션에 기반한 아이디어를 활용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이를 기반으로 에너지, 은행, 자동차, 조선, 필수소비재의 접근이 유효하다고 조언했다.
최 연구원은 “업종별 접근에 있어 접근 시점에서의 매크로 상화도 고려할 필요가 있고 업종 내에서도 선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며 “해당 업종 중 외국인 순매수 강도가 높고 현재 PER 레벨이 연중 중간값 이하 수준인 종목군에 주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에너지, 은행, 자동차 부문에선 SK이노베이션, KB금융, 현대차 등을 예시로 들 수 있다”며 “조선, 필수소비재 부문에선 한국조선해양, CJ제일제당 등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