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7년여만에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송도 캠퍼스를 방문해 삼성의 바이오 사업에 힘을 실었습니다.
11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날 오전 이 부회장은 인천 송도구의 송도 바이오 캠퍼스내 삼성바이오로직스 제4공장 준공식에 참석했습니다. 이 부회장이 송도 바이오 캠퍼스를 찾은 것은 지난 2015년 삼성바이오로직스 제3공장 기공식 이후 7년만입니다.
이 부회장이 이날 직접 점검한 제4공장은 생산 능력이 24만 리터에 달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바이오 의약품 생산 공장으로 약 2조원의 공사비가 들었습니다.
이달 초부터 부분 가동에 들어간 제4공장 덕에 삼성은 바이오의약품 생산 능력 총 42만 리터를 확보, 삼성바이오로직스 출범 10년 만에 바이오의약품 위탁 개발·생산(CDMO) 분야 글로벌 1위에 올랐습니다. 이 과정에서 글로벌 20대 제약회사 중 12곳을 고객사로 유치했습니다.
특히 제4공장이 정상 가동하는 내년에는 생산 능력이 총 60만 리터까지 늘어나 글로벌 바이오 CDMO 시장에서의 ‘초격차’ 우위를 공고히 할 전망입니다.
이재용 부회장은 가동을 시작한 제4공장을 직접 점검하고 삼성바이오로직스 및 삼성바이오에피스 경영진을 각각 만나 CDMO 및 바이오시밀러 사업 중장기 전략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삼성은 바이오를 반도체에 버금가는 '미래 먹거리'로 육성하기 위해 공격적인 투자를 지속하는 한편,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 확대 등 새로운 성장 동력 발굴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현재 글로벌 시장에서 6개 바이오시밀러 제품을 시판 중인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앞으로 제품 파이프라인을 더욱 확대해 글로벌 수준으로 사업을 육성한다는 방침입니다. 이와 함께 삼성바이오에피스는 현재 항암·항염 치료제 위주로 구성된 파이프라인을 앞으로 안과, 희귀질환, 골다공증 등 난치병 분야 등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삼성 관계자는 "CDMO 분야에서는 이번에 준공한 제4공장에 이어 앞으로 제5 공장, 제6 공장을 추가로 건설하고 생산 기술 및 역량을 고도화해 ‘글로벌 바이오 의약품 생산 허브’ 역할을 수행해 나갈 계획이다"며 "2032년까지 향후 10년간 바이오 사업에 7.5조원을 투자해 11만평 규모의 제2 캠퍼스를 조성하고, 이곳에 공장 4개를 추가로 건설해 바이오 분야에서의 초격차를 완성할 계획이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