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올해 유통가 정기 임원인사에서 최고경영자(CEO) 선임을 비롯한 여성들의 약진이 눈에 띕니다. 여성 리더만의 강점에 거는 '기대'와 법규 준수라는 '필요' 사이에서 유통기업들이 2023년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패션·뷰티, 식품, 이커머스 등 업종과 부문을 막론하고 유통가에 여성 CEO들이 연이어 등장하고 있습니다.
롯데그룹은 롯데멤버스 첫 외부 여성 대표이사로 김혜주 전무를 내정했습니다. 삼성전자, KT 출신의 김 전무는 신한금융지주에서 빅데이터부문장과 마이데이터유닛장 상무를 겸했습니다. 빅데이터 전문가로 금융과 제조, 통신 등 여러 산업군에서 쌓은 데이터 분석 경험이 강점으로 평가받습니다.
LG생활건강은 지난달 18년간 회사를 이끈 차석용 부회장 후임으로 이정애 전 음료 사업부장을 선정했습니다. LG그룹 첫 여성 사장입니다. 지난 1986년 공채로 입사한 이 사장은 36년간 생활용품과 명품 화장품, 음료 부문에서 사업부장을 역임하는 등 그룹 전체 사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는 평입니다.
LG생활건강은 지난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절반가량 줄었습니다. 중국의 제로 코로나(지역 봉쇄) 정책,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등으로 현지 영업에 차질을 빚은 탓입니다. 최근 중국이 리오프닝을 선언하며 국내 화장품업계가 변곡점을 맞이한 상황에서 이 부사장에게도 실적 개선의 임무가 주어졌습니다.
앞서 CJ그룹은 CJ올리브영 영업본부장을 맡고 있던 이선정 경영리더를 신임 대표로 선임했습니다. 1977년생으로 40대인 이 경영리더는 그룹 내 최연소 CEO이자 올리브영 최초의 여성 CEO입니다. 그룹에서 상품기획(MD) 전문가로 불리는 만큼 헬스앤뷰티(H&B) 분야 내 상품 경쟁력 향상에 초점을 맞춥니다.
11번가도 첫 여성 CEO를 수장에 올렸습니다. 현재 11번가 운영총괄을 맡고 있는 안정은 최고운영책임(COO)는 향후 이사회를 통해 하형일 사장과 함께 각자 대표 체제로 활동하게 됩니다. 안 내정자는 야후코리아를 거쳐 네이버, 쿠팡, LF 등을 역임한 이커머스 서비스 기획 전문가입니다.
대기업을 중심으로 여성 임원도 확대됐습니다. 삼성물산은 패션부문에서 고희진·박남영 상무가 부사장으로 승진했습니다. 삼성 물산 최초의 여성 부사장들입니다. 고 부사장은 제일모직 패션부문 등을 거쳐 에잇세컨즈 사업부장을, 박 부사장은 빈폴사업부장을 거쳐 해외상품2사업부장을 재직하고 있습니다.
롯데그룹은 김혜주 대표 외에도 6명의 신임 여성 임원을 발탁했습니다. 유통 부문에서는 정미혜 롯데제과 상무보, 채혜영 롯데칠성 상무보, 한지연 롯데백화점 상무보, 김지연 롯데홈쇼핑 상무보 등 4명으로 모두 내부 출신입니다. 삼양그룹은 처음으로 40대 여성임원인 김현미 재경PU장을 발탁했습니다.
올해 유독 여성 CEO·임원 승진 사례가 잦은 이유로는 자본시장법 개정이 결정적이라는 분석입니다. 지난 8월부터 자산 2조원 이상 상장기업 이사회를 특정 성별로만 구성할 수 없게 되면서 등기 임원 내 여성 이사 비중이 늘었습니다. 다만 회사에 상근하는 사내이사 비율이 정체된 건 '옥에 티'입니다.
ESG 공시 의무화를 앞둔 행보로도 볼 수 있습니다. 오는 2025년부터 자산 2조원 이상 국내 기업의 ESG 공시가 의무화되고 2030년부터는 전 코스피 상장사로 확대됩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따르면 국내 30대 그룹 계열사의 약 90%가 ESG위원회 설치를 완료하며 세부 경영 전략을 다듬고 있습니다.
아직 속도가 더딘 게 사실입니다. 유니코써치의 반기보고서 임원 현황 조사를 살펴보면 올해 국내 100대 기업의 여성 임원 수는 403명으로 전체의 5.6%에 불과합니다. 한국은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발표한 올해 유리천장지수에서 29개 국가 중 29위를 기록, 10년 연속 최하위에 머물렀습니다.
여성 리더를 앞세운 기업들은 기본적인 전문성과 함께 여성 리더의 강점을 높이 평가하는 분위기입니다. 삼성물산과 롯데그룹은 여성 부사장 및 임원을 발탁하며 각각 '유연성'과 '다양성' 강화를 언급했고, LG생활건강은 이정애 부사장의 '디테일한 면을 챙기는' 부분을 강조했습니다.
경영의 지속가능성 차원에서도 여성의 경쟁력이 과거보다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임신·출산·육아 등이 여성 경력 단절의 주원인으로 지목되지만 최근 조직 내 양성평등 문화 및 사내 보육 프로그램 확대 등과 함께 1인 가구가 늘고 결혼이 하나의 옵션이 되고 있다는 게 그 근거입니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과 교수는 "펀드 매니저 남녀 비중을 보면 상·하위 10~20%는 남자가, 중간 포지션에는 여성이 많이 있는데 이는 여성이 위험 관리를 잘한다고 볼 수도 있다"며 "디지털 시대이자 위험성이 높은 사회로 변하는 미래에는 투명성과 위험 관리 차원에서 여성이 유리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