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랠리가 멈춰섰습니다. 코로나19 저금리 기조 종식과 함께 2021년 8월 시작된 이른바 '통화정책 정상화' 이후 1년반 만입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23일 오전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현재 연 3.50%인 기준금리를 그대로 동결했습니다.
금통위는 이날 "다음 통화정책방향 결정시까지 기준금리를 현수준(3.50%)에서 유지해 통화정책을 운용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로써 한은의 기준금리 연속 인상 행진은 7차례(지난해 4·5·7·8·10·11월, 올 1월)에서 멈추며 일단 '숨고르기'에 들어갔습니다.
한은은 지속적인 경기부진과 실물경제 위축을 우려해 8번째 금리 인상 길목에서 돌아선 것으로 보입니다.
금통위는 "물가상승률이 점차 낮아지겠지만 목표수준을 상회하는 오름세가 연중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며 "정책 여건의 불확실성도 높은 만큼 인플레이션 둔화 속도와 불확실성 요인들의 전개 상황을 점검하면서 추가 인상 필요성을 판단해 나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보았다"고 기준금리 현행유지 배경을 밝혔습니다.
실물경기에 대해선 "주요국 경기침체 우려가 완화됐지만 IT 경기부진 심화로 수출 감소세가 이어지고 소비 회복 흐름도 약화되면서 성장세 둔화가 지속됐다"고 평가했습니다.
올해 성장률은 지난해 11월 전망치(1.7%)를 소폭 하회하는 1.6%로 하향조정했습니다.
금통위는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월중 5% 내외를 나타내다 지난해 국제유가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 수요압력 약화 등으로 점차 둔화될 것"이라면서도 "공공요금 인상 영향 등으로 주요 선진국에 비해서는 둔화 속도가 완만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그러면서 "금년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1월 전망치(3.6%)를 소폭 하회하는 3.5%로 전망된다"고 부연했습니다.
금통위는 향후 정책방향에 대해선 "인플레이션 둔화 속도, 성장의 하방위험과 금융안정 측면의 리스크, 그간의 금리인상 파급효과, 주요국의 통화정책 변화를 면밀히 점검할 것"이라며 "성장세를 점검하면서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에서 안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금융안정에 유의해 통화정책을 운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