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효성첨단소재가 글로벌 시장의 45%를 점유한 폴리에스터 타이어코드 기술력을 발판으로 자동차 산업의 친환경 전환에 적극 대응해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15일 효성첨단소재에 따르면 글로벌 메이저 타이어 제조사들이 요구하는 까다로운 조건에 부합하는 폴리에스터 타이어코드를 납품, 현재 폴리에스터 타이어코드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타이어코드는 화학섬유의 일종으로 타이어의 내구성과 주생성 및 안전성을 높이는 보강재입니다.
효성첨단소재는 중화학 업계에서 폴리에스터 타이어코드 경쟁력 확보를 토대로 글로벌 자동차 업계의 친환경 자동차 연료 및 부품 개발 흐름에도 한 발 빠르게 대처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특히 독자개발한 탄소섬유 탄섬을 바탕으로 수소차 연료탱크 제조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입니다.
탄소섬유는 철보다 강도는 10배 강하고 무게는 25%에 불과해 ‘꿈의 신소재’로 불립니다. 최근 미래 친환경 자동차로 주목받고 있는 수소차의 연료탱크와 압축천연가스(CNG) 고압용기에 탄소섬유가 쓰이면서 탄소섬유의 활용 범위가 더 늘어나고 있습니다.
실제로 효성첨단소재는 2019년 8월 전주 탄소섬유 공장에서 오는 2028년까지 약 1조 원을 투자해 연산 2만 4000톤의 탄소섬유를 생산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증권가에서도 효성첨단소재의 행보에 긍정적인 분석을 내놓고 있습니다. 지난 2월초 신한투자증권은 효성첨단소재에 대해 "탄소섬유 중심의 수퍼섬유 강세가 지속될 것"이라며 "탄소섬유는 판가 강세에 따른 높은 수익성이 유지되며 아라미드 역시 전방 수요 호조세로 양호한 실적이 예상된다. 4월부터 탄소섬유 2천500톤이 추가로 가동되며 탄소섬유 실적 성장이 지속될 전망"이라고 밝혔습니다.
효성첨단소재 관계자는 "조현상 부회장을 필두로 차별화된 기술과 품질을 기반으로 프리미엄 브랜드로서 입지를 확고히 해 나가자는 내부의 의지가 고무되고 있다"며 "에어백용 원사 및 원단, 안전벨트용 원사 등 자동차용 소재부품 사업의 수직 계열화를 통한 지속 성장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