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권용희 기자ㅣ세일즈포스는 생성형 인공지능(AI) 기반 'AI 클라우드'를 선보인다고 15일 밝혔습니다.
'AI 클라우드'는 기업이 생성형 AI를 채택할 때 발생하는 데이터 레지던시, 보안, 규정준수를 돕는 서비스입니다. 세일즈포스의 생성형 AI인 아인슈타인 GPT의 '트러스트 레이어'에 기반했습니다.
세일즈포스는 "생성형 AI에 대한 직원 및 기업간 신뢰의 격차가 존재하며 기업의 리더들이 생성형 AI 도입을 우려하고 있다"면서 "아인슈타인 GPT 트러스트 레이어가 기업의 민감한 데이터를 대규모 언어 모델에서 분리해 데이터 거버넌스와 제어 실현이 가능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아인슈타인 GPT는 세일즈포스 내에서 주간 1조 건 이상의 AI 기반 예측을 제공하는 고객 관계 관리 솔루션입니다.
AI클라우드는 이메일 작성, 고객문의 대응, 제품 추천 등 부서별 업무 자동화와 더불어 코드 자동 생성, 버그 예측 및 수정 제안 기능을 제공합니다.
세일즈포스의 아인슈타인, 데이터 클라우드, 태블로, 플로우, 뮬소프트 등 기술을 활용한 개방형 생성 AI도 제공할 방침입니다.
세일즈포스가 자체 개발한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포함해 아마존웹서비스(AWS), 코히어, 앤트로픽 등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LLM을 호스팅할 수 있는 개방형 생태계도 제공합니다.
마크 베니오프 세일즈포스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세일즈포스 CRM을 기반으로 구축된 AI 클라우드는 높은 신뢰성을 바탕으로 AI의 장점을 쉽고 빠르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 할 수 있다"면서 "모든 기업들이 생산성 및 효율성과 관련하여 놀라운 혁신을 경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손부한 세일즈포스 코리아 대표는 "생성형 AI 활용에 앞서 해소해야 할 선결과제는 바로 데이터에 보안 및 데이터 신뢰성과 관련된 안전망을 확보하는 것이다"라며 "AI 클라우드는 '신뢰의 격차'를 해소하고 생성형 AI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위한 매우 강력한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