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코스닥 상장사 제이스코홀딩스의 자회사인 윌링스가 1년여 만에 또다시 새 주인 맞이를 앞두고 있지만, 수백억원을 투입하겠다는 법인들의 자금력에 의문이 커지고 있다. 윌링스를 인수한다는 리워터월드와 전환사채(CB)에 투자한다는 메타하이퍼라는 업체 모두 자본잠식 상태에 빠져있고 매출액은 0원인 곳들이다.
이렇다 보니 리워터월드가 제시한 인수 후 신사업에 대한 청사진 역시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된다. 윌링스는 지난해 제이스코홀딩스에 인수된 직후에도 신사업을 통한 시너지를 자신했지만, 신사업 추진은 전무했고 회사 사정은 점차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3일 금융투자업계 및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윌링스는 오는 10일로 예정된 임시주주총회 일정을 다음달 8일로 연기했다. 오는 10일은 리워터월드 유상증자 납입과 메타하이퍼의 CB 납입이 동시에 예고된 날로, 최대주주 변경과 함께 임시주총이 열릴 계획이었다.
하지만 회사가 주총 일정을 늦추자 일각에서는 자금 납입에 문제가 생긴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대규모 자금을 투입하겠다는 업체들의 납입 능력이 불투명하다보니 의구심은 더욱 짙게 형성되는 모습이다.
앞서 지난 6월 리워터월드는 피나클로지스투자 1호조합과 함께 200억원 규모의 윌링스 유상증자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동시에 리워터월드가 유치했다고 알려진 메타하이퍼는 200억원 규모의 CB를 납입할 계획이라고 공시했다.

지난 2017년에 설립된 리워터월드는 재활용 절수기를 판매하는 업체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지난해 재무사항을 살펴보면 자본총계 –5억 5200만원으로 완전자본잠식 상태이고 매출액은 0원, 당기순손실 2억 4700만원을 기록해 영업활동이 정상적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보기 힘든 상황이다.
서울 영등포에 위치한 리워터월드 주소지를 직접 방문한 결과, 1층에 절수기 전시실이 있고 8층에는 사무실이 위치해 있었다. 윌링스 인수와 관련한 취재를 시도했지만 담당자를 만날 수 없었고, 이후 연락을 주겠다는 관계자의 언급이 있었지만 더이상의 연락은 받을 수 없었다.
메타하이퍼의 상황도 리워터월드와 크게 다르지 않다. 메타하이퍼는 친환경 재생에너지 솔루션 기업으로 소개돼 있지만 자본총계 -3억 5900만원으로 역시 완전자본잠식 상태이면서 매출도 발생하지 않고 있다. 결국 실질적 사업 결과가 불명확하고 자본잠식에 빠져있는 두 업체에서 상장사에 수백억원을 투입하겠다는 계획인 것이다.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메타하이퍼 사무실에서 만난 회사 관계자는 “취재에 응하지 않겠다”며 선을 그었다.
리워터월드의 경우 지난해 코스닥 상장사인 엘아이에스에 자금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가 이행하지 않은 이력이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난해 6월 리워터월드는 엘아이에스에 100억원 규모의 CB를 납입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한달도 채 지나지 않아 납입 주체가 바뀌며 리워터월드는 투자를 실행하지 않았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윌링스 경영권 인수와 함께 추진하겠다는 중수도(사용한 수돗물을 재활용으로 다시 처리하는 것) 신사업도 공수표에 불과한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윌링스는 1년 전에도 유사한 상황에 놓였다. 지난해 제이스코홀딩스 피인수 이후 신사업 추진 소식에 기대감을 모았지만 사업 추진은 전무했고 회사 상황은 악화됐다.
제이스코홀딩스는 지난해 윌링스 인수 이후 메타버스 및 배터리 신사업을 추진한다고 공언했다. 하지만 제이스코홀딩스가 윌링스 경영권 매각을 경영하기 직전까지 실질적인 사업 추진 내역이나 결과는 전무하다.
윌링스의 재무 상황도 악화일로다. 지난 2021년 영업손실 12억원을 기록했지만 지난해 영업손실이 127억원으로 급격히 확대됐고 잉여금도 감소했다. 지난 2021년 200억원대를 기록하고 있던 이익잉여금은 올해 1분기 기준 38억원까지 쪼그라들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인수 및 투자 주체들의 재무 상황과 사업 내용을 살펴봤을 때, 자금 납입에 대한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다”며 “신사업 추진 여부도 면밀히 살펴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