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핀테크(금융+기술) 기업의 해외진출을 적극 지원하고 금융회사-핀테크 기업 간 협업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김 부위원장은 30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글로벌 핀테크 박람회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3'에 참석해 핀테크 산업 정책방향을 제시했습니다.
김 부위원장은 개막식 환영사를 통해 "경험과 인적·물적 인프라가 부족한 핀테크 기업에 해외 현지정보와 해외진출거점을 제공하고 현지 금융사 및 해외투자자와 협업·매칭을 지원해 글로벌 진출에 기여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금융위에 따르면 핀테크 기업은 2019년 345개에서 2021년 553개로 늘고 핀테크 사업 평균매출액도 같은 기간 70억원에서 179억원으로 성장했지만 초기 구축한 인프라나 사업모델이 안정화 단계로 접어들면서 새로운 혁신금융서비스 출현은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김 부위원장은 "핀테크의 다양성과 혁신이 정체되는 가운데 이제는 기존과 다른 성장방식과 새로운 시도가 나와야 한다"며 "좁은 내수시장의 한계를 극복해 스케일업 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진출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이어 "금융사가 핀테크 기업 정보와 기술력을 활용하는 B2B 분야는 핀테크 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되어줄 수 있을 것"이라며 "금융사의 핀테크 기업 투자, 데이터 및 인적·물적 자원 공유, 해외 공동진출 등 파트너십 구축을 지원하는 논의의 장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김 부위원장은 핀테크 기업이 신기술을 토대로 창의적인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규제를 합리화하겠다는 계획도 밝혔습니다. 중소 핀테크 기업의 가명정보 활용 지원, 합성데이터 활용 가이드라인 마련 등 데이터 결합을 위한 정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합니다.
또 개선 건의가 많은 망분리 규제와 관련해선 개발·테스트, 비중요업무에 대한 클라우드 컴퓨팅(SaaS 이용) 분야에서 망분리를 예외적으로 인정하는 등 보안능력과 업무환경을 감안해 점차 합리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날 박람회에선 금융사, 빅테크 기업(네이버파이낸셜·카카오페이)과 한국성장금융 간 '핀테크 투자생태계 지원강화 업무협약'도 체결됐습니다.
앞으로 4년(2024~2027년) 동안 유망한 핀테크에 집중투자될 '핀테크 혁신펀드' 2차조성에 상호협력한다는 게 핵심입니다.
금융위는 "이번 협약식을 통해 구체화되는 핀테크 혁신펀드 2차조성에 따라 2020년부터 올해까지 5000억원에 더해 향후 4년간 5000억원이 추가 조성된다"며 "핀테크 기업에 총 8년간 1조원 규모로 연속적인 투자지원이 이뤄지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올해 5회를 맞은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3'은 금융위 주최, 한국핀테크지원센터 주관으로 '미래의 핀테크와 만나다'라는 주제 아래 오는 9월1일까지 사흘 동안 펼쳐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