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Car 자동차

국내 완성차업체, 8월 65.3만대 판매…전년 동월비 5.5%↑

URL복사

Monday, September 04, 2023, 15:09:03

GM, 트랙스 크로스오버 등 해외판매 호조 이어져
현대차·기아·KG모빌리티는 전년 동월비 소폭 상승
르노코리아, 업체 중 유일 감소..가성비 올려 반등 준비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국내 완성차업체 5개사의 지난 8월 총 판매량이 전년 동월보다 5.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4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005380], 기아[000270], KG모빌리티(구 쌍용자동차)[003620], GM 한국사업장, 르노코리아자동차 등 국내 완성차업체의 8월 총 판매량은 65만3811대를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월 판매량인 61만9975대와 비교했을 경우 5.5%의 판매 증가율을 나타냈습니다.

 

해외 시장에서는 54만7220대, 국내 시장에서는 10만6591대를 판매하며 전년 동월 대비 판매량이 각각 6.3%, 1.4%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8월 해외 판매량은 51만4884대, 국내 판매량은 10만5091대를 기록한 바 있습니다.

 

업체별로 총 판매량을 구분할 경우 현대차는 34만7377대, 기아는 25만5481대, GM 한국사업장은 3만1716대, KG모빌리티는 1만823대, 르노코리아는 8414대를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월 대비 현대차는 3.2%, 기아는 5.2%, KG모빌리티는 1.4%의 증가율로 판매량이 소폭 증가했으며, GM 한국사업장은 판매량이 74.2% 증가하며 전월에 이어 완성차업체 중 최고 판매 증가율을 올렸습니다. 반면, 르노코리아는 전년 동월 대비 판매량이 27.6% 줄며 5개사 중 유일하게 감소율을 기록했습니다.

 

현대차는 8월 국내에서 5만5555대, 해외에서 29만1822대를 팔았습니다.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은 각각 12.9%, 1.5%를 기록했습니다.

 

국내에서는 준대형 세단인 디 올 뉴 그랜저가 8820대로 가장 많이 팔린 가운데 중형 트럭 포터가 5987대로 뒤를 이었습니다.

 

준중형 세단 아반떼는 4758대, 경형 SUV 캐스퍼는 3804대, 대형 SUV 팰리세이드는 3752대, 중형 세단 쏘나타는 3001대, 준중형 SUV 투싼은 2976대, 대형 RV 스타리아는 2940대의 국내 판매량을 올렸습니다. 프리미엄 브랜드인 제네시스는 국내에서 9180대의 판매량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기아는 국내에서 4만2334대, 해외에서 21만3147대의 판매량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8월 대비 국내 시장 판매량은 2.2%, 해외 시장 판매량은 5.8% 증가했습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스포티지(4만1376대)가 지속적으로 월 판매량 선두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셀토스(3만1647대)와 쏘렌토(2만1498대)가 뒤를 이었습니다. 국내에서는 쏘렌토(7176대), 스포티지(5210대), 카니발(4937대), 레이(4402대), 봉고Ⅲ(3892대), 셀토스(3512대) 등의 순으로 많이 팔렸습니다.

 

GM 한국사업장은 국내 판매량은 3297대를 기록하며 전년 동월 대비 8.2% 감소했으나, 해외 시장에서 무려 94.4% 증가한 2만8419대를 판매해 국내 완성차업체 중 최고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해외 시장의 증가율은 최고 히트상품 중 하나로 자리매김한 트랙스 크로스오버와 트레일블레이저의 판매량 호조세 지속이 주된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트랙스 크로스오버는 해외 시장에서 1만9698대의 판매량을, 트레일블레이저는 8721대의 판매량을 올리며 GM 한국사업장의 판매량 상승세를 이끌었습니다.

 

KG모빌리티는 전년 동월 대비 해외 시장 판매 '호조' 흐름, 국내 시장 판매 '감소' 흐름 현상이 이어졌습니다. 해외 시장에서는 6920대의 판매량으로 전년 동월 대비 84.4%의 증가율을 기록했으나, 국내 시장에서는 3903대의 판매량을 기록하며 지난해 8월 대비 43.6% 줄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해외 시장에서는 렉스턴 스포츠(1896대), 토레스(1763대), 티볼라(1171대), 렉스턴(1126대), 코란도(950대) 등 주요 SUV 차량이 판매량을 고르게 올린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르노코리아는 국내 시장에서 1502대, 해외 시장에서 6912대가 판매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전년 동월 대비 국내 판매량은 62.0%, 해외 판매량은 9.9%가 줄었습니다. 주력 상품 중 하나인 XM3는 6962대의 글로벌 판매량으로 르노코리아 차종 가운데 가장 많은 판매량을 기록했습니다.

 

르노코리아 측은 "9월부터 새롭게 선보인 르노 익스피리언스 ‘밸류 업’으로 주요 볼륨 모델의 가성비를 최대로 끌어올리며 내수 시장 반등에 나설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홍승표 기자 softman@inthenews.co.kr

배너

[인더필드] “360도 회전에 어른도 비명”…‘유아용’ 레고랜드의 반전

[인더필드] “360도 회전에 어른도 비명”…‘유아용’ 레고랜드의 반전

2025.04.13 07:01:00

춘천=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레고랜드 코리아의 올해 첫 신규 롤러코스터 '스핀짓수 마스터'가 베일을 벗었습니다. 360도 회전, 시속 57km로 쉼 없이 몰아치는 질주에 어른들의 입에서도 비명이 터져나왔습니다. '유아용 놀이동산'으로 불리는 레고랜드가 200억원을 투입한 스릴형 어트렉션으로 관광객 확대과 실적 개선 모두에서 반전을 꾀합니다. 레고랜드 코리아는 지난 10일 레고랜드 닌자고 구역에서 신규 어트랙션 스핀짓주 마스터를 소개하는 오프닝 세리머니를 개최했습니다. 스핀짓주 마스터는 레고의 인기 IP(지식재산권)인 '닌자고'를 메인 테마로 내세웠습니다. 전 세계 10개 레고랜드 가운데 스핀짓주 마스터 도입은 한국이 최초입니다. 스핀짓주 마스터 공식 오픈 행사에서는 이순규 레고랜드 코리아 대표, 피오나 이스트우드 멀린 엔터테인먼트 CEO, 론 벤시온 레고랜드 코리아 이사, 토니 클렘슨 주한영국대사관 무역투자 상무참사관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습니다. 이날 테이프 커팅식, 미디어 간담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됐습니다. 신규 라이드는 총 346m 길이 트랙과 최대 360도 회전하는 좌석이 특징입니다. 좌석을 정면으로 고정하지 않아 곡선 구간에서 느낄 수 있는 스릴감을 배가했습니다. 최고 속도는 시속 57km로 전 세계 레고랜드 어트랙션 중 가장 빠른 속도입니다. 약 200억원을 투입해 기존 닌자고 클러스터 구역을 약 800평(2640㎡) 확장한 부지에 조성됐습니다. 이 대표는 "레고랜드는 '우리 아이 첫 롤러코스터'라는 콘셉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굉장히 빠른 어트랙션은 레고랜드가 운영하는 철학과 맞지 않다"면서도 "그런 면에서 스핀짓주 마스터는 G-포스(중력가속도)나 속도 등 우리가 할 수 있는 수준에서 가장 스릴이 높은 어트랙션"이라고 말했습니다. 닌자고의 풍부한 스토리텔링과 불을 뿜는 용의 비주얼, 연이어 들리는 짧고 굵은 비명은 오픈 첫날부터 아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하기에 충분했습니다. 입구에서부터 부모의 손을 잡고 탑승을 기다리는 아이들의 인파가 몰리며 긴 대기 줄이 만들어졌습니다. 탑승을 마친 성인들 사이에서는 "운영 시간은 짧지만 생각보다 빠르고 어지러워 놀랐다"는 평가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아울러 레고랜드는 이날 '브릭(BRICKS)' 키워드를 활용해 레고랜드 브랜드의 방향성을 제시했습니다. ▲Build(창의의 시작) ▲Realize(잠재력 실현) ▲lmagination(무한한 상상력) ▲Connection(가족 친화형 테마파크) ▲Kindness(배려와 공존) ▲Story(독보적인 LEGO IP)로 레고랜드의 특징을 소개했습니다. 이 대표는 "놀이는 아이의 행복과 연결 된다고 생각하지만, OECD에서 발표한 어린이 행복지수를 보면 우리나라 어린이들의 행복 지수가 가장 낮다"며 "적어도 이곳에 와서는 아이들이 즐겁게 잘 놀 수 있는 공간과 플랫폼을 마련하고 그런 기회를 제공하는 게 레고랜드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레고랜드는 이번 스핏짓수 마스터 오픈을 통해 2025시즌에 본격 돌입합니다. 오는 5월 3일부터 6월 14일까지 세계 놀이의 날을 기념해 개최되는 '레고 페스티벌'이 출발점입니다. 레고 페스티벌은 전 세계 7개 레고랜드에서 동시 진행되는 글로벌 행사로 아시에서는 유일하게 한국에서만 열립니다. 창의적 놀이 경험을 확장하기 위한 시도도 이어집니다. 25만개 이상의 브릭이 사용된 '브릭토피아 라운지'는 가족이 함께 체험과 휴식을 즐길 수 있도록 리뉴얼됐습니다 전문 마스터 빌더가 직접 참여하는 '크리에이티브 워크숍', 강원도 지역 초등학생 대상 창의력 경진대회 '강원 스쿨 챌린지' 등 교육형 콘텐츠도 강화했습니다. 레고랜드 코리아는 2022년 어린이날(5월 5일)을 맞아 세계 10번째로 강원도 춘천에 문을 열었습니다. 40여개의 놀이기구와 7개의 레고 테마 구역으로 나뉘며 레고랜드 호텔은 154개의 객실을 보유했습니다. 만 2~12세 사이 어린이를 주 타깃으로 한 국내 첫 글로벌 테마파크라는 점에서 큰 기대를 모았습니다. 하지만 수도권과의 접근성, 스릴 있는 놀이기구의 부재, 미흡한 시설 등이 단점으로 거론되며 운영에 난항을 겪었습니다. 연간 200만명이 찾을 거란 포부와 달리 실제 방문객은 연간 50~60만명대에 머물러있습니다. 레고랜드의 2023년 매출은 전년 대비 20.6% 감소한 494억원 기록했고 영업손실은 200억원으로 전년보다 3배 이상 늘었습니다. 흑자 예상 시점에 대한 질문에 대표는 "테마파크는 장치 산업이자 노동 집약적인 산업"이라며 산업의 특수성을 배경으로 들었습니다. 그는 "초기 투자 비용이 많아 그 비용을 감가하면서 장부에는 적자로 보이는 숫자들이 있다"며 "확실히 말할 수 있는 건 지난해 실적이 전년보다 개선됐다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더운 날씨로 인한 사업 상 어려움도 토로했습니다. 이 대표는 "한국 특히 강원도 춘천에서 운영하는 데 있어서 날씨에 영향을 많이 받는 건 전 세계 다른 레고랜드보다 조금 더 어려운 부분이 아닌가 싶다"며 "덥고 추운 날씨로 운영하려던 스케줄과 달라지는 부분이 있지만 기존 사업의 방향성이나 경영 목표는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세간의 우려를 불식했습니다. 레고랜드 코리아에 따르면 2022년 오픈 이후 현재까지 운영에 700~800억원을 투자했습니다. 향후 레고랜드는 춘천의 더운 여름을 고려해 물놀이 콘텐츠에 투자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꾸준히 지적받아온 식음료(F&B) 부문도 개선합니다. 레고사와 협업을 통해 레고브릭버거 같은 차별화 메뉴를 선보이는 한편 한국적인 메뉴 출시도 구상하고 있습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