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올 가을 백화점 3사가 받은 성적표는 부진했습니다. 승승장구하는 쿠팡의 상승세와 맞물리며 원조 ‘유통 공룡’들은 체면을 구겼습니다. 갈팡질팡하던 사업 방향은 최근 오프라인 쪽으로 축이 옮겨지는 모양새입니다. 내년 백화점은 리뉴얼을 통해 ‘본업’인 오프라인 경쟁력을 강화합니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백화점 3사(롯데·신세계·현대)는 올 3분기 일제히 수익성이 떨어졌습니다. 롯데백화점은 영업이익이 74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1.8% 감소했습니다. 신세계백화점과 현대백화점의 영업이익은 928억원, 798억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15.1%, 17.4% 줄었습니다.
더운 날씨가 9월까지 이어지면서 가을·겨울 패션 카테고리 판매가 저조했다는 게 롯데백화점 측 설명입니다. 신세계백화점은 물가 상승과 연동된 관리비와 판촉비가 증가했습니다. 현대백화점은 인건비 등 비용이 늘었고 본점·더현대 대구 등 일부 점포 리뉴얼에 따른 감가상각비 발생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코로나19 특수 종료에 따른 타격이 컸습니다. 코로나가 극심하던 시기 시·공간 제약으로 오프라인 유통 기업들 대부분이 고전했으나 백화점만은 호황을 누렸습니다. 명품 중심 패션 상품군 호조와 스포츠, 화장품 등 고마진 상품 인기에 힘입어 나홀로 성장을 거듭했습니다.
지난해 롯데백화점 영업이익은 1089억원으로 전년 대비 1300억원가량 늘면서 흑자전환했습니다. 신세계와 현대는 각각 전년보다 51%, 65% 증가한 1084억원, 965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엔데믹을 맞은 올해 보복소비 효과가 떨어지면서 백화점을 방문하는 소비자가 줄었습니다.
반면 쿠팡의 성장세는 파죽지세입니다. 지난해 가을부터 꺾이지 않고 있습니다. 올 3분기 쿠팡의 영업이익은 1146억원(분기 평균 환율 1310.39달러 기준)으로 1년 전보다 11% 늘었습니다. 매출은 8조1028억원으로 18.5%(원화 기준) 증가했습니다. 5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 중입니다.
역대급 매출과 최대 적자를 동시에 경신하던 쿠팡은 지난해 3분기부터 흑자를 내기 시작했습니다. 지난해 4분기 매출 7조원 돌파에 이어 올 3분기에는 8조원대에 진입했습니다. 올해 1분기 1362억원, 2분기 1940억원, 3분기 1146억원 흑자를 낸 만큼 사상 첫 연간 흑자를 달성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쿠팡의 활성고객(분기에 한 번이라도 제품을 구매한 고객) 수는 처음으로 2000만명을 돌파했습니다. 로켓배송·로켓프레시·마켓플레이스·로켓그로스 사업을 총괄하는 프로덕트 커머스 매출은 21% 신장했습니다. 쿠팡 와우 맴버십 고객은 꾸준히 늘고 있고 대만에는 두 번째 대형 풀필먼트센터를 열었습니다.
쿠팡의 고속 성장에 백화점의 속앓이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이커머스 시장에서 백화점 입지는 반등의 기회조차 만들기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공정거래위원회 등에 따르면 국내 이커머스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기준 쿠팡 24.5%, 네이버 23.3%, 신세계(지마켓·쓱닷컴·옥션) 11.5%, 롯데온 4.9% 등입니다.
백화점들이 온라인 사업에 손을 놓고 있었던 건 아닙니다.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은 지난해 신년사에서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 승자가 되자”며 디지털 피보팅을 강조했습니다. 올해 역시 온·오프라인을 결합한 신세계 유니버스 확장을 자신했으나 야심 차게 내놓은 멤버십이 큰 반향을 일으키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부진한 실적이 계속되자 신세계는 계열사 대표 40%를 교체하는 강수를 뒀습니다. 한채양 신임 이마트 대표는 신규 출점 재개 계획을 밝혔고, 8년 만에 개편한 경영전략실 수장에는 스타필드를 이끌어 온 임영록 대표가 임명됐습니다. 향후 사업의 오프라인 비중 확대를 예상할 수 있는 대목입니다.
백화점업계는 4분기와 내년 오프라인 경쟁력 향상에 초점을 맞춥니다. 롯데백화점은 4분기 이후 인천점, 수원점 등 점포 리뉴얼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국내 핵심 점포 경쟁력 강화와 함께 9월 오픈한 베트남 롯데몰 웨스트레이크 하노이 등 해외 복합쇼핑몰 사업 활성화를 통해 수익성을 끌어올립니다.
신세계백화점은 3분기 강남점 영패션 전문관 뉴스트리트를 리뉴얼 오픈했고 경기점은 아동·골프·영화관을 재단장했습니다. 세계적인 아트페어 ‘프리즈 서울’에도 업계 최초로 참여했습니다. 아트와 공간을 결합한 마케팅을 통해 MZ세대 모객을 본격화할 방침입니다.
온·오프라인 시너지 확대에도 역량을 집중합니다. 연말까지 온라인 선물하기 서비스 ‘신백선물관’을 강화하고 백화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향상시켜 사용자 편의성을 높인다는 계획입니다.
현대백화점은 지난 7월 본점 식품관 리뉴얼에 이어 이달 10개월 간의 공사를 마치고 리빙관을 오픈하며 연말 손님맞이에 나섰습니다. 하이앤드 리빙관 콘셉트로 모로소, 비앤티 이탈리아 등 글로벌 명품 브랜드 중심 입점을 통해 입소문을 노립니다.
백화점 얼굴격인 명품도 강화합니다. 오는 12월 루이비통(더현대서울), 디올(판교점), 부쉐론(더현대대구) 등 주요 명품 브랜드의 신규 입점이 예정돼 있습니다. 국내 첫 디즈니 공식 매장 ‘디즈니스토어’ 점포도 확대합니다. 7월 판교점(1호점)을 시작으로 더현대서울 등에 4개 매장을 열었습니다.
이해니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현대백화점은 상반기부터 이어진 수도광열비, 인건비, 감가상각비 약 150억원 등 고정비 영향이 지속됐다"며 "다만 4분기 PPA(인수가격배분) 상각비 및 대전 아울렛 영업 중단 기저효과, 신규 명품 브랜드 오픈이 기대된다"고 전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