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권용희 기자ㅣ코스닥 상장사 TS트릴리온이 특정 세력의 차익실현 무대로 전락하면서 엑시트(투자금 회수)를 시도하던 창업주 장기영 전 대표의 발목을 붙잡고 있다.
대규모 자금 유입을 예고했던 유상증자는 수차례 납입이 연기되며 최대주주 변경이 지연되고 있는 가운데, 장 대표가 돌연 회사를 상대로 수십억원의 청구 소송을 제기하며 새로운 상황이 펼쳐지게 됐다.
장 대표로부터 지분을 사들였던 FI(재무적 투자자)들은 지난 연말 대량의 물량을 장내에서 집어던졌고 주가는 속절없이 급락했다. 경영권 변경과 신사업 기대에 몰렸던 개미들은 졸지에 물량받이로 전락했고 주가는 순식간에 3분의 1 토막이 났다.
시장에 쏟아진 창업주 물량..자금 납입 없이 주가만 요동
1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장 대표는 최근 TS트릴리온을 상대로 84억원 규모의 청구소송을 제기했다. 대표 재직 시절 회사에 빌려준 금액을 돌려달라는 내용이다. TS트릴리온은 지난해 4월 2회차 전환사채(CB)를 79억4958만원 주고 사들였다. CB 보유자들의 조기상환청구(풋옵션) 행사에 따른 것이다. 이 과정에서 장 대표는 자신이 보유한 TS트릴리온 주식 3100만주를 담보로 상상인저축은행과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에서 돈을 빌렸고 회사는 이 자금으로 급한 불을 껐다.
이후 TS트릴리온은 자금 부족 문제를 유상증자와 CB 발행을 통해 해결하고자 했다. 지난해 6월 TS트릴리온은 200억원 규모의 3자배정 유상증자를 발표했다. 대상자는 제이유홀딩스로 발행가액은 639원으로 책정했다. 동시에 이노베이션바이오1호조합을 대상으로 하는 200억원 규모의 3회차 CB 발행 계획도 밝혔다. 주가는 공시 전부터 꿈틀거렸다. 공시 일주일 전까지만해도 600원 중반대를 형성하던 주가가 공시 하루 전에는 962원까지 치솟았다.
이틀 후 장 대표는 자신이 보유한 4000만주를 매도하는 300억원 규모의 주식양수도 계약을 체결했다. 이를 통해 상상인저축은행 등에 빌린 돈을 상환한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계약 대상은 엔더블유투자파트너스(1700만주), 에이스파트너스(1360만주), 해승아이앤씨(470만주), 알이에스(470만주) 등 총 4곳이었다. 주당 매입가는 계약 체결 일주일 전 종가 649원보다 15% 높은 750원으로 책정됐다.
이후 지난해 9월, 장 대표는 가족이 보유한 주식까지 더해 총 4500만주를 337억5000만원에 넘기는 것으로 계약을 변경했다. 매수 주체도 일부 바뀌었다. 지난해 11월 기준으로 엔더블유투자파트너스와 해승아이앤씨가 빠지고 천일실업, 덕산1호조합, 티엔바이오1호조합이 추가됐다.
경영권 변경과 자금 조달 기대 등으로 한때 2000원을 넘어선 후 한동안 1000원 중반대를 유지하던 주가는 FI가 장내에서 대량 매도에 나서면서 급락세로 돌아섰다. 유상증자와 CB 납입일을 앞두고 티엔바이오1호조합은 4만8239주와 470만2671주를 각각 주당 1410원, 845원에 매도했고 덕산1호조합도 주당 846원에 315만7301주를 매도하며 수억원의 차익을 실현했다. 대량 매물에 밀려 현재 주가는 400원 초반까지 주저앉은 상태다. 주가 급등락 과정에서 다수 개인 투자자들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갑작스러운 대량 매도와 주가 폭락으로 일부 FI는 손해를 보는 경우도 발생했다. 천일실업로부터 986만6666주를 사들인 이노베이션2호조합은 주당 588원에 700만주를 매도하며 10억원의 손실을 봤다. 에이스파트너스는 주당 593원에 780만주를 매도하며 약 12억원의 손해를 입었다. 에이스파트너스는 35억원의 주식담보대출을 받으며 주가가 1022원 이하로 떨어질 경우 강제매매되는 조건을 단 것으로 나타났다.

복귀 불발되자 소송전..텅 빈 회사 곳간
공언했던 대규모 자금조달은 납입이 수차례 지연되며 아직까지 최대주주 변경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장 대표는 덕산1호조합으로부터 잔금 15억원을 받지 못한 상황이다. 지난 1월 3일 기준으로 1540만8010주를 보유하고 있는 장 대표는 최근 임시 주주총회를 통해 사내이사 복귀를 시도했지만 정족수 미달로 불발됐다.
복귀가 무산되자 장 대표는 회사를 상대로 청구 소송에 나섰다. 다만 회사의 재무 상태가 여의치 않다 보니 소송이 장기화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TS트릴리온은 계속되는 적자로 단기 부채가 늘어나고 현금성 자산은 줄어들고 있어 장 대표의 돈을 돌려줄 여력이 충분치 않기 때문이다. TS트릴리온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2020년 10억원에서 2021년 4억원, 2022년 2억원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지난해 3분기 누적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3억원으로 집계됐다.
반면 단기 부채는 늘어나고 있다. TS트릴리온은 지난해 3분기말 기준 1년 미만 차입금이 428억원에 달한다. 2022년말 기준 1년 미만 차입금은 377억원이다. TS트릴리온은 2022년 매출액 629억원, 당기순손실 102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매출은 399억원으로 전년 대비 36% 감소했고 당기순손실은 12억원을 기록하며 적자를 지속했다. 이런 가운데 TS트릴리온은 지난해 11월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전환사채와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정관상 발행한도를 각각 1000억원에서 5000억원으로 조정했다. 주식연계채권을 통한 잠재 부채 한도를 5배 늘린 것이다.
TS트릴리온 관계자는 "단기 금융 이자가 높아서 적자가 나는 것 뿐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유상증자를 하는 것"이라며 "자금 납입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소송과 관련해 회사 측은 "차입 계약은 변제기의 정함이 없는 계약으로 채권자가 일방으로 청구하는 것이 아닌 회사와의 협의를 통해 상환 청구를 해야 함에도 일방으로 상환 청구를 했다"며 "채권자와 협의를 통해 해결할 예정이며 이에 따른 법적 절차 또한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