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부동산 시장 경기 둔화가 지속되며 서울 모든 자치구에서 아파트 가격이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노도강(노원, 도봉, 강북)', '금관구(금천, 관악, 구로)'로 일컬어지는 강북 3구와 서남권 3구의 경우 전월에 이어 아파트 가격 하락세 심화가 지속됐습니다. 상급지로 꼽히는 송파구의 경우 개발 기대에 대한 수요 감소 등으로 자치구 중 최대 하락폭을 나타냈습니다.
15일 한국부동산원 통계시스템 R-One에 따르면, 지난 1월 서울 아파트값 변동률은 -0.17%을 기록했습니다. 전월인 지난해 12월 하락세로 전환한 이후 2개월 연속 내림세 흐름입니다.
특히 전월 유이하게 상승률을 기록한 성동구(-0.13%)와 영등포구(-0.11%)가 지난 달 하락률로 진입하면서 서울 25개 모든 자치구에서 가격 흐름이 꺾였습니다. 모든 자치구가 내림세를 기록한 것은 지난해 3월 이후 10개월 만입니다.
'강북 3구'는 전월에 이어 지속적인 하락세가 이어졌습니다. 노원구가 -0.24%로 강북 3구 중 가장 큰 하락폭을 나타냈으며, 강북구(-0.21%), 도봉구(-0.20%)도 내림세 흐름이 이어졌습니다.
강북 3구의 경우 중소형 구축 아파트가 밀집해 있는 지역으로 최근 정비사업 완화대책이 발표되며 관심이 모아졌으나 전체적인 부동산 분위기 위축세로 인해 매수문의가 줄고 일부 단지에서는 급매물도 나오며 가격 내림세가 지속됐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구로구(-0.22%), 금천구(-0.21%), 관악구(-0.13%) 등 서남권 3구도 전월과 마찬가지로 아파트 가격 내림세를 나타냈습니다. 해당 지역은 일부 대단지와 중소형 규모 아파트 단지에서 가격이 내려간 것이 전체적인 하락세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송파구는 서울 자치구 중 최대 하락폭인 -0.38%의 내림률을 나타냈습니다.
송파구는 강남권에서도 노후 대단지가 밀집해 있어 서울 재건축 시장의 '블루칩'으로 꼽히는 지역이지만 최근 공사비 증대 등으로 인한 분담금 상향 우려 요인으로 기대심리가 감소한 것이 전체적인 하락세 심화로 나타났습니다. 강남권의 서초구 또한 -0.24%의 하락률을 기록하며 내림세 흐름이 심화됐습니다.
서울과 함께 인천(-0.13%), 경기(-0.31%)를 모두 합친 수도권 아파트값 변동률은 -0.24%를 기록했습니다. 경기도의 경우 광주시(-0.80%)가 전월에 이어 2개월 연속 최대 하락률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수도권과 지방(-0.12%)을 합친 전국 아파트값 변동률은 -0.20%를 기록했습니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불확실한 부동산 시장 영향으로 매수 관망세가 심화되는 데다 급매물 위주의 거래 등으로 아파트 매물가격의 하향조정이 지속되는 모습"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