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청소년'이 명시된 정부 부처 개편안에 국회의장과 국회의원들이 힘을 모았습니다.
4일 한국청소년지도사협의회에 따르면, 지난 1일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전국의 청소년지도사, 상담사 등 1000여명이 참석해 정부 조직 개편과 청소년정책 수립 방향에 대해 제안하는 '국회 청소년정책 토론회'가 개최됐습니다.
‘국민주권정부 시대, 이제부터 진짜 청소년정책을 세우다’는 주제로 열린 이번 토론회에서는 ▲정부 조직 개편에서 청소년 명칭 반영 ▲청소년지도자·상담사 처우 개선 ▲청소년정책 전문성과 지속성 확보 등이 논의 되었습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축사에서 "청소년 시절 사회를 바꾸고 싶다는 생각을 했지만, 정책적 지원은 없었다"며 청소년은 투표권이 없어 국가 정책에 있어서 무시되는 경향이 있었으나 우리 미래와 직결된 문제이기에 새 정부에서 청소년 정책을 제대로 만들어야 한다. 부처 명칭에 청소년을 넣는 것 찬성한다"고 말했습니다.
김한규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여가부를 성평등가족청소년부로 개편하고, 아동 관련 사무를 복지부에서 이관하는 법안을 발의했다"며 “부처 명칭은 실질적인 의지의 표현”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같은 당의 김남근 의원도 "청소년정책을 복지나 여성정책의 부속으로 보는 인식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청소년정책의 독립성에 힘을 보탰습니다.
기조강연에 나선 권일남 명지대 교수(한국청소년수련시설협회장)는 "청소년지도사의 역할을 명확히 하고,
사회적 인식 개선 및 처우 체계 정비가 시급하다"며 "청소년지도사 양성체계 고도화와 학교 연계 정책 제도화, 배치지도사 기준 정상화 등을 제안했습니다.
두 번째 기조강연을 맡은 김형수 단국대 교수는 청소년상담 현장의 열악한 근무여건을 환기시켰습니다. 김 교수는 "전국 240개 청소년상담복지센터의 직원 60%가 비정규직이고, 경력이 쌓일수록 오히려 처우는 나빠진다"며 "청소년 분야 종사자의 전문성과 연속성을 위한 법적 기반이 필요하고 장기적으로 ‘아동·청소년·청년부’ 신설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번 행사는 한국청소년지도사협의회 외에 한국청소년수련시설협회, 청소년상담복지센터협의회 등 8개 단체가 주최하고,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사회민주당 소속 국회의원들이 공동 주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