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 “올해부터 회사 '워라밸' 시행으로 저녁에 시간이 남아, 백화점 문화센터에 등록하려고 갔는데 남성들을 위한 프로그램은 거의 없더라고요.”
최근 백화점을 찾는 남성 고객들이 늘어나고 있다. 외모에 투자하는데 비용을 아끼지 않는 일명 '그루밍족'과 한 번 뿐인 인생을 즐기는 '욜로족'이 증가하면서 남성들의 소비 패턴도 달라지는 추세다.
여기에 기업의 근로시간 단축 시행과 '워라밸((work and life balance)' 바람으로 저녁시간이 여유로워졌다. 이 때문에 백화점 문센(문화센터)에 대한 관심을 보이는 남성 직장인들이 많아지는데, 정작 이들을 위한 프로그램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2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신세계 아카데미 봄 학기 프로그램 대부분은 여성과 아이들을 위한 강좌로 구성돼 있다. 올해 봄학기 20~30대 여성 수강생 비중은 60%에 달하고, 특히 20대 여성 직장인이 급증했다.
문센 강의는 보통 주부 수강생이 몰리는 오전과 오후 시간대에 집중된다. 이 시간에는 주로 아이와 엄마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스트레칭, 요리, 베이킹 클래스나 과학체험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올해 저녁 시간대의 강의에 수요가 대거 몰렸다. 저녁 시간대도 몸매교정을 위한 발레핏, 안티에이징 마사지, 일본 가정식 요리, 프랑스 자수, 영국풍 꽃꽂이, 메이크업 강좌 등 여성 고객들의 관심사 위주다.
남성 고객들의 취향을 반영한 프로그램은 평일 저녁 시간대와 주말에 인문학 강좌와 부동산 투자 등 경제 관련 강좌가 있지만, 선택의 폭이 매우 좁은 편이다. 백화점 문센의 프로그램은 여성 고객의 취향을 반영한 강좌가 압도적으로 많다.
백화점을 자주 찾는 한 남성 고객은 “퇴근 후 취미 차원에서 강의를 들으려고 백화점 문센 프로그램을 들여다보는데, 들을만한 프로그램이 별로 없다”면서 “운동부터 취미로 배울 수 있는 프로그램 모두 여성 고객들 위주로 구성돼 있어 선뜻 등록하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실제로 백화점의 남성 고객 수와 매출 비중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신세계백화점의 경우 지난 2010년 28.1%였던 남성 소비자 매출은 2017년 34.1%로 증가했다. 현대백화점도 남성 소비자 비중이 2015년 31%에서 2017년 33%로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롯데백화점도 남성 고객 비중이 증가하면서 ‘남성패션 편집매장’을 강화했다. 봄맞이 매장 개편을 통해 롯데백화점 잠실점에 남성 프리미엄 테일러 샵을 선보였다. 명품 주얼리 ‘프레드’의 경우 팔찌 ‘포스텐(Force 10)' 구매고객 70%가 남성인 것으로 집계됐다.
과거 백화점 문센은 남성고객들의 취향을 반영한 강좌를 마련한 적이 있다. 예컨대, 전문가와 함께 배우는 격투기와 루어 낚시, 하루 피로를 푸는 스트레칭 등이다. 여기에 남성을 위한 메이크업 강좌를 비롯해 아내와 연인에게 선물하는 쿠킹 강좌 등도 개설된 바 있다.
업계는 최근 직장인들을 위한 문센 강좌를 강화하고 있지만, 남성 고객은 여기서도 제외됐다. 롯데백화점은 퇴근 후 여유가 생긴 직장인들을 위해 30%가량 확대한 워라밸 관련 강좌를 늘릴 예정이다. 다만, 요가, 꽃꽂이, 요리 강좌 등 20~30대 직장인 여성들이 대상이다.
한 대형 백화점 관계자는 “예전에는 백화점에 남성 고객을 유입시키기 위해 여러 이벤트성 프로그램을 마련하기도 했다”면서 “최근엔 워라밸 시행 등으로 20~30대 수강생이 크게 증가하면서 남성 고객도 취미활동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어 다양한 강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