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Column 칼럼

쓰이타이(四姨太) 효과 (上)

URL복사

Monday, June 11, 2018, 11:06:00

[진세근의 중국경제 이야기] 공유자전거는 공유경제가 아니다

[진세근 겸임교수] 얼마 전부터 중국 경제계에 ‘쓰이타이 효과’가 화두다. ‘쓰이타이’를 우리 말로 풀면 ‘넷째 첩’쯤에 해당한다. 그렇다면 ‘쓰이타이 효과’는 ‘넷째 첩 효과’쯤 되겠다. 무슨 뜻일까.

 

장이모(张艺谋) 감독이 만든 ≪붉은 큰 등을 높이 매달고(大红灯笼高高挂)≫라는 영화의 한 장면을 보자. 4명의 첩은 영감의 총애를 얻기 위해 다툰다. 배우 궁리(巩俐)가 열연한 넷째 첩 쑹롄(颂莲)은 임신했다고 거짓말을 한다. 영감의 총애를 받기 위해서임은 물론이다. 결국 이 거짓말은 들통이 나고 만다. 영감의 아들이 쑹롄을 찾아와 따진다.

 

“당신 정말 멍청하군요. 거짓으로 임신했다고 해도 언제까지 그 거짓이 유지될 수 있겠소? 조만간 탄로날 거 아니요?”

 

그 때 쑹롄은 이렇게 반격한다.

 

“내가 멍청하다고요? 흥! 난 멍청하지 않아요. 난 이미 계산을 끝냈어요. 시작은 물론 거짓이겠죠. 그러나 이 일로 인해 영감이 자주 내 처소에 들리기만 한다면 오래지 않아 거짓은 진실이 되고 말 거에요.”

 

베이징 사범대학의 톈쑹(田松) 박사는 이 장면에서 ‘쓰이타이 효과’라는 말을 찾아냈다. 톈 박사는 “쓰이타이의 말 속에는 지혜가 담겨 있다. 그의 뜻은 명백하다. 영감의 관심을 끌 수 있기만 하다면 임신할 기회는 그만큼 커질 것이고, 이렇게 해서 시간이 길어지면 가짜가 곧 진짜로 변한다는 얘기다.

 

그 때가 되면 설사 사람들이 당초 얘기가 거짓임을 알았다고 해도 어쩔 것인가? 다만 이 말의 유일한 결점은 그 자체에 이미 거짓을 품고 있다는 것이다. 거짓에 대한 대가를 치를 수 있다는 얘기다.”라고 설명했다.

 

그럼 이제 중국 인터넷을 달군 다른 말 한 마디를 들어보자.

 

“단지 커다란 빵 하나만 그려놓고 사람들을 유인한 뒤 결과적으로 실제적인 수익창출이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냈다면, 이런 ‘공중 누각’은 아주 쉽게, 그리고 아주 큰 소리를 내면서 무너져 내리지 않을까?”

 

 

여기서 가리키는 ‘공중 누각’은 바로 ‘공유 자전거’다. 왜 공유 자전거가 공중 누각이 될 수 있다는 얘기일까. 먼저 하나의 사례를 들어본다.

 

‘ofo, 모바이(摩拜) 등 이른바 ’공유 자전거‘는 고객들의 마지막 1km 여정’을 해결했을 뿐이다(대중교통 이용을 끝낸 뒤 집까지 걸어가는 거리를 해결했다는 의미). 그런데도 ofo를 선두로 하는 ‘공유 자전거’는 지난해 일약 스타덤에 올랐다.

 

미디어가 앞다퉈 조명했고, 투자가 밀려들었다. 불과 한 달 사이에 ofo와 모바이는 모두 다섯 차례의 자본 유치에 성공했다. ‘공유 자전거’는 ‘앱 예약 자동차’에 이어 또 하나의 ‘공유경제 스타’가 된 것이다.

 

이에 대해 중국 경제 전문가들은 “하나의 기업 혹은 하나의 사업이 실력은 부족한데 각종 광고와 선전을 통해 여론을 끌어들이고 자본을 유치했다면, 그래서 비록 처음에는 물거품 같은 존재였지만 후에는 안정적인 기업이 됐다면 이것이 바로 ‘쓰이타이 효과’다”라고 지적했다.

 

결국 공유 자전거는 쓰이타이 효과 덕분에 포말에서 실체가 됐고, 결국은 공중 누각처럼 무너져 내릴 것이라는 경고인 셈이다.

 

공유 자전거를 향한 중국 경제의 파워 블로거들의 비판은 그래서 매섭다. 이들은 경제관찰, 아이메이(艾媒) 등 경제전문 사이트에 기고한 글을 통해 공유 자전거의 허구성을 폭로 중이다. 허구라는 근거를 이들의 입을 통해 들어보자.

 

“이른바 ‘공유 자전거’는 본질적으로는 ‘대여 자전거’다. 결코 공유경제가 아니다. 회사가 자전거를 구입하거나 대여해 노상에 가져다 놓고 고객들에게 빌려주는 행위이다. 공유 자전거는 ‘공유’라는 이름을 머리에 이고 있을 뿐 실제로는 B2C(기업-고객)간의 임대행위일 뿐이다.

 

진정한 공유경제의 개념은 시장 이곳저곳에서 놀고 있는 자원을 가져다가 개인 고객에게 제공하는 행위이다. 디디(滴滴)가 그렇고 우버(Uber)가 그렇다. 우리가 이들은 ‘프로슈머(Prosumer)' 즉 산소자(産消者)라고 부르는 이유다. 이들은 물건을 대여하는 생산자이자, 물건을 사용하는 소비자이다. 이것이 바로 진정한 의미의 공유경제다.”

 

그렇다면 왜 쓰이타이 효과 덕분에 성장한 기업들이 몰락한다는 얘기일까? 이를 막거나 혹은 다른 혁신으로 전환시킬 방안은 없는 것일까? 중국의 경제인, 경제학자들은 바로 이 문제를 놓고 심층 토론 중이다. 다음 회에서 그 내용을 살펴본다.

 

- 진세근 서경대 문화콘텐츠학부 겸임교수/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사무총장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진세근 겸임교수 기자 mirip@inthenews.co.kr

배너

캘리그라피와 한국무용이 만난 사계…춘천서 융합 전시 열린다

캘리그라피와 한국무용이 만난 사계…춘천서 융합 전시 열린다

2025.11.05 17:29:25

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사계절의 감정을 글과 춤으로 풀어내는 융합 전시 ‘캘리살롱: 여인의 사계 – 봄에서 다시, 봄으로’가 오는 12일부터 16일까지 춘천 갤러리 아르코테카(아르케이프 커피)에서 열립니다. 이번 전시는 ‘자연의 순환과 감각적 시간’을 주제로 진행됩니다. 캘리그라피 작가 조성령의 서체에서 드러난 감정의 선과 조성민 안무가의 움직임이 교차하며, 글과 몸의 예술적 대화를 선보일 예정입니다. 조성령 작가는 사계절 정서를 붓끝으로 표현하며 내면 감정과 시간의 결을 담았습니다. 조성민 안무가는 이를 몸짓으로 확장해 정적 시각예술과 동적 무용이 조화를 이루는 형식을 구현합니다. 고현서 기획자는 관람자가 전시장 동선을 따라 이동하며 몰입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캘리그라피 붓터치와 무용 동작이 결합된 전시형 퍼포먼스를 통해, 춘천 지역에서는 보기 드문 융합예술 형식이 적용됩니다. 관람객은 글과 춤, 시각과 감각을 통해 사계절 감정을 경험할 수 있으며, 시간의 흐름과 감정 변화를 공간 전체에서 체감할 수 있습니다. 조성령 작가는 “글과 춤이 서로의 언어가 되어 감정의 선율을 완성하는 전시”라며 “붓끝에서 시작된 울림이 춤으로 이어져 관객이 일상 속에서 잠시 멈추어 자신의 봄을 떠올리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전시 관련 자세한 정보는 춘천문화재단 홈페이지와 블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