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정재혁 기자] 올해 상반기 국내은행과 은행지주회사의 BIS기준 자본비율이 2분기 양호한 실적을 바탕으로 상승했다. BIS기준 자본비율은 총자산에서 자기자본이 차지하는 비율로, 은행과 은행지주회사 등의 건전성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지표다.
13일 금융감독원(원장 윤석헌)에 따르면, 6월말 국내은행의 BIS기준 총자본비율, 기본자본비율, 보통주자본비율, 단순기본자본비율은 각각 15.48%, 13.38%, 12.83%, 6.61%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3월말 대비 총자본비율(0.17%p), 기본자본비율(0.10%p), 보통주자본비율(0.08%p), 단순기본자본비율(0.05%p) 모두 상승한 것. 이는 지난 2분기 중 자본증가율이 위험가중자산 증가율과 총익스포져증가율을 상회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총자본의 경우 당기순이익 발생(4조 4000억원), 유상증자(7000억원) 및 조건부자본증권의 신규 발행(1조 3000억원) 등으로 7조원이 증가했다. 위험가중자산은 29조 4000억원 늘었다.
은행별로는 씨티은행(18.74%)과 카카오뱅크(16.85%)의 총자본비율이 높은 편에 속했다. 케이뱅크(10.71%)와 수출입은행(13.26%)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주요 시중은행별로는 KEB하나(16.41%), 신한(16.17%), 국민(15.89%), NH농협(15.85%), 우리(15.25%) 순이었다. 은행지주회사별로는 KB(15.14%), 신한(14.85%)이 높았고, JB(12.64%), DGB(13.19%)는 낮은 축에 속했다.
국내은행과 은행지주회사의 올해 6월말 총자본비율(은행 15.48%‧지주 14.46%)은 바젤Ⅲ 규제 비율(올해 12.5%)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분기 양호한 실적 등의 영향으로 자본비율이 더욱 상승했다.
곽범준 금감원 은행감독국 팀장은 “현재 은행 및 은행지주회사의 자본비율이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다만, 향후 대내외 경제불확실성 등에 대비해 내부 유보 등 적정 수준의 자본 확충을 지속적으로 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