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정재혁 기자] 일반 국민의 금융소비자 보호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소비자는 약관이나 상품설명서의 분량이 너무 많고 난해하며, 금융사는 상품 판매 후 고객에 대해 신경 쓰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금융광고도 상당 부분 왜곡·과장됐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금융당국에 대해서도 소비자 보호노력이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금융당국은 이번 조사 결과를 ‘쉽고 편리하고 친근한 금융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금융위원회(위원장 최종구)는 9일 ‘금융소비자 보호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금융소비자 관련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작년 10월 말부터 8일 간 온라인조사 형식으로 진행됐다. 조사 대상자는 전국 만 19~69세 국민 2194명이다.

조사 결과를 보면, 전반적으로 금융사의 평소 행태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금융회사는 상품판매 후에도 고객에 대해 신경 쓰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전체 73.9%에 달했고, ‘사고나 피해 발생 때 책임을 지려 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도 73.2%였다.
금융광고에 대해서도 응답자의 60.7%가 ‘왜곡·과장됐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과장된 표현의 빈번한 사용(46.5%) ▲중요한 내용은 작게 표시하고 빨리 말함(22.6%) ▲부정적 정보를 숨긴다고 생각(20.9%) 순이었다.
소비자들은 적합한 금융상품 선택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약관·상품설명서가 가장 필요하다(66.4%)가 답했지만, 정작 ‘약관·상품설명서가 너무 어려워서 불편하다’는 응답이 88.6%로 상당히 높았다. 약관·상품설명서의 개선이 요구된다.

‘금융소비자 보호의 주체에 관한 인식’ 질문에서는 ‘금융당국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43.5%)’고 응답했지만, 정작 정부 현재 기울이고 있는 노력에 대해서는 그리 높게 평가하지 않았다. ‘금융당국이 소비자 보호에 노력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43.9%로 상당히 높았다.
금융사에 대해서는 응답자 62.3%가 ‘노력하지 않는다’고 답하는 등 소비자보호와 관련해 중요하지도 노력하지도 않는다고 평가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금융사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가 매우 낮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반영해 약관·광고 등을 개선하고 소비자가 가장 적합한 상품을 고를 수 있는 금융환경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금융사에 대해서는 상품 판매절차 등 서비스 전반에 걸쳐 소비자 친화적인 내부통제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유도한다.
금융위 관계자는 “금융소비자 보호 관련 제도적 기반 마련을 위해 ‘금융소비자 보호법’이 조속한 시일 내에 제정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며 “금소법 제정과는 별개로 1분기 중 ‘금융소비자 보호 종합방안’ 및 ‘금융교육 기본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