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이진솔 기자ㅣ SK텔레콤이 사내 유망 기술을 발굴해 글로벌 ICT 유니콘 기업으로 육성하는 프로그램을 시작한다.
SK텔레콤은 28일 자사 구성원이 가진 ICT 기술 아이디어를 ‘스핀-아웃(Spin-Out)’ 방식으로 사업화하는 ‘스타게이트(Stargate)’ 프로그램을 소개했다.
스핀-아웃(Spin-Out)이란 기업의 일부 기술이나 사업부를 분리해 회사를 만드는 것을 뜻한다. 자회사를 세우거나 독립된 법인을 설립하는 방식이 대표적이다.

스타게이트라는 동명의 영화에 나오는 4차원 이동 기기에서 착안한 이름이다. SK텔레콤은 “사내 우수한 ICT 기술을 글로벌 시장에 초고속으로 진출 시키겠다는 SK텔레콤의 의지가 담겼다”고 말했다.
SK텔레콤은 기술 스핀-아웃을 통해 자사 유망 기술 기반 글로벌 ICT 유니콘 기업을 만들어낼 계획이다. 유니콘 기업이란 기업가치가 1조원 이상인 스타트업으로 주로 비상장 회사를 지칭한다. 이를 위해 내년까지 3개 기술을 스핀-아웃해 글로벌 시장에 진출 시킬 예정이다.
시장으로 나간 유니콘들은 SK텔레콤의 사업 영역에 구애 받지 않고 다양한 분야에 쓰이며 경쟁력이 향상된다. 또한 외부 자본투자를 받아 사업화 할 가능성도 높아진다.
SK텔레콤은 “자사의 유망 기술이 글로벌 무대로 나가 다양한 분야의 협력사들과 새로운 경제적·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성원들은 스타게이트를 새로운 도전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 제조업 특화 AI 데이터 분석 솔루션 기술을 개발했던 구성원들은 지난해 5월 ‘마키나락스’를 창업했다. SK텔레콤·네이버·현대자동차 등의 투자를 받아 미국과 한국에서 사업을 진행 중이다.
◇ 투자 부문부터 HR 부서까지 협력해 유망 ICT 기술 4단계로 검증
스타게이트는 ▲기술 상용화 가능성 검증 ▲거점 시장 검토 ▲기술 스핀-아웃(사업화) ▲성장 지원 등 4단계로 구성된다.
기술 상용화 가능성 검증은 ICT기술센터 ‘테크 이노베이션 그룹(Tech Innovation Group)’이 맡는다. 이 그룹은 지난 1월 신설된 기술 사업화 전담 조직이다. 기술 독창성·완성 수준·사업화 가능성 등의 측면에서 검토를 진행한다.
사업화 대상 기술은 단순 아이디어 수준이 아니라 국제적으로 인정을 받거나 ICT 관계사에 적용되는 과정을 거치며 경쟁력을 증명해야 한다.
거점 시장 검토는 지난 1월 미국 뉴욕에 설립한 SK텔레콤 TMT Investment Corp과 SK텔레콤 홍콩사무소 등 해외 조직이 담당해 ▲현지 시장 및 기술 동향 ▲사업 파트너 ▲투자자 그룹의 관심도 등을 분석할 계획이다.
제조업 연관 기술은 중국 시장 진출을 고려한다. 미디어와 AI 등 첨단 ICT 기술은 미국 시장 중심으로 사업화를 검토한다.
기술 스핀-아웃 단계에서는 기술 사업화 방법과 사업화 주체 조직을 정한다. ICT기술센터와 Corporate Development 센터는 시장분석을 통해 적합한 기술 스핀-아웃 형태를 결정한다.
기술 스핀-아웃 형태는 ▲외부 투자를 받아 신규 회사 설립 ▲타사와 결합 ▲외부 파트너사와 합작회사 설립 등 크게 3가지다.
SK텔레콤은 양자암호통신 기술을 스핀-아웃해 IDQ과 결합했고 ATSC 3.0 기술은 싱클레어와 합작회사를 설립하는 방식을 택했다.
스핀-아웃 형태가 결정되면 ICT기술센터와 HR을 담당하는 기업문화센터가 사업화 조직을 구성한다. 해당 조직은 빠른 의사결정을 바탕으로 사업화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2명에서 6명의 소수 정예로 꾸려진다. 조직의 구성원은 내부에서 선발하거나 필요한 경우 외부에서 영입한다.
스핀-아웃한 기술이 글로벌 시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성장 지원 프로그램도 준비했다. ‘T오픈랩’은 분사한 기술이 꾸준히 발전할 수 있도록 공간·장비·기술 등을 지원한다. 또한 외부 전문가와 연계해 사업 운영과 발전 방향에 대한 별도 코칭 프로그램도 마련돼 있다.
◇ 광학엔진 옵틱스 등 20여개 기술 상용화 검토 중
SK텔레콤이 독자 개발한 초소형 레이저 광학엔진 ‘옵틱스(Optics)’는 연내 스핀-아웃될 예정이다. 옵틱스는 50X50X30(mm)의 주사위 크기로 AI 스피커와 차량용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기기에 탑재된다.
최대 100인치 영상을 볼 수 있는 200루멘(lm) 밝기를 지원하면서도 눈에 안전한 ‘Eye safety Class’ 1등급을 받았다. 기기가 움직여도 자동으로 초점을 맞출 수 있는 ‘포커스 프리(Focus Free)’ 기능도 제공한다.
인공지능 기술로 음원에서 보컬과 반주를 분리하는 ‘음원 분리 기술(AI Vocal Remover)’도 스핀-아웃이 추진되고 있다. SK텔레콤은 CES 2019에서 SM 엔터테인먼트와 기술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신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공동협의체를 운영하고 있다.
이 밖에도 인공지능 기반 미디어 품질개선 ‘슈퍼노바’와 시청 이력에 개인 맞춤형 콘텐츠를 추천한다. 또 인공지능이 조건에 맞는 장면을 찾아주는 ‘AI 맞춤형 미디어 디스커버리 기술’도 기술 상용화 가능성을 검토 중이다.
MWC19에서 호평을 받은 슈퍼노바는 SK하이닉스와 SK브로드밴드에서 이미 활용되고 있다. AI 맞춤형 미디어 디스커버리 기술은 지난 1월 열린 MWC19에서 ‘최고 모바일 영상 서비스’로 선정됐다.
박진효 SK텔레콤 ICT기술센터장은 “스타게이트는 글로벌 ICT 유니콘을 만들기 위해 SK텔레콤의 전문 역량을 결집해 만든 프로그램이다”며 “기술 사업화를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삼아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고 대한민국 ICT 생태계의 발전을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