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진은혜 기자ㅣ 국토교통부가 당산동 자율주택정비 사업 제1호 준공식이 30일 사업지인 서울시 영등포구 당산동에서 개최됐다고 밝혔다.
자율주택정비사업이란 단독(10호 미만), 다세대 주택(20세대 미만) 집주인 2명 이상이 모여 주민합의체를 구성한 후 공동주택을 신축하는 사업이다. 소단위 필지 사업으로 자율형·합필형· 건축협정형으로 나뉜다.
이번 사업은 노후주택 집주인 3명이 주민합의체를 만들어 본인 소유 토지에 자율적으로 주택을 신축하는 자율형 방식으로 추진됐다. 신축된 주택 중 일부는 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임대기간 8년, 임대료 증액 연 5% 이내)으로 공급된다.
사업을 추진할 때 한국감정원 통합지원센터가 사업성분석·사업시행인가·이주·입주 과정까지 지원했다. 또한 주택금융보증공사(HUG)는 총사업비(55억) 절반 수준인 27억 1000만원의 기금을 연 1.5%로 융자했다.
2018년 2월에 도입된 자율주택정비사업의 최대 장점은 간소한 절차다. 기존 정비사업과는 다르게 조합설립 등의 절차가 없어서 사업기간이 짧아 주민들은 주거지 정비 효과를 빠르게 체감할 수 있다. 이번 1호 사업의 경우도 주민합의체 구성에서 준공까지 10개월이 소요됐다.
4월 기준으로 전국적으로 45곳의 주민합의체가 자율주택정비사업을 추진 중이다. 올 상반기 중에 경기 하남시 덕풍동(5월), 대전 동구 판암동(6월) 2곳이 준공될 예정이다. 하반기에도 다수의 자율주택정비사업이 착공과 준공을 앞두고 있다.
특히, 대전 동구 판암동 사업장의 경우 LH가 일반분양분 10호를 매입해 공공임대주택으로 공급할 계획이다. 매입한 공공임대주택은 청년·신혼부부 및 주거취약계층 등에게 시중 전세 시세의 30% 수준으로 공급된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한국감정원 통합지원센터를 동해 상담에서 준공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하고 있다”며 “자율주택정비사업이 노후저층 주거지 재생의 선도적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제도를 개선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학규 한국감정원 통합지원센터 원장은 “당산동 제1호 자율주택정비사업의 준공이 노후주거지의 활력을 되찾기 위한 의미 있는 첫 발걸음”이라며 “더 많은 발자취를 남길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