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김현우 기자ㅣ #. 평소 재테크에 관심이 많은 직장인 박진호 (가명) 씨는 은행 창구에서 ‘외화 보험은 달러라는 안전 자산으로 투자되고 환율이 오를 경우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직원의 설명을 듣고, 안정적인 재테크 수단으로 생각해 관련 상품에 가입했다.
그리고 시간이 흘러 보험 만기가 돌아와 보험금을 원화로 환전했는데 예상치 못한 일이 벌어졌다. 해당 시점의 환율이 가입할 때보다 하락해 생각했던 것보다 적은 금액을 받게된 것이다. 보험 가입 당시 환율변동으로 인한 영향을 염두에 두지 않은 결과다.
금융감독원 (원장 윤석헌)은 위 사례와 같이 외화보험 가입 때 소비자가 놓칠 수 있는 유의사항 세 가지를 17일 발표했다. 외화보험은 보험료 납입과 보험금 지급이 모두 외국통화로 이뤄지는 보험상품으로 현재 미국 달러보험과 중국 위안화보험이 판매되고 있다.
우선 환율변동에 따라 소비자가 납입하는 보험료와 수령하는 보험금 원화가치가 달라질 수 있다. 외화보험은 소비자가 보험료를 낼 때에는 원화를 외화로 환전하게 되고 보험금을 받을 때에는 외화를 원화로 환전하게 된다. 만일 보험료 납입 때 환율이 상승하면 가입자의 보험료 부담이 늘어나는 식이다.
또 외국의 금리수준에 따라 금리연동형보험의 만기보험금 등은 변동될 수 있다. 외화보험은 이율 적용 방법에 따라 크게 금리연동형과 금리확정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금리연동형은 매월 공시이율이 변동하는 상품이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금감원 관계자는 “현재 미국과 중국의 금리 수준이 우리나라보다 높은 상황에서 외화보험에 가입할 경우 이율 측면에서 원화보험보다 유리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며 “그러나 대부분의 외화보험은 보험기간이 5년 또는 10년 이상으로 긴 편인데 장기간 외국의 금리가 계속해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인터넷 블로그 등에서 외화보험이 환차익을 얻을 수 있는 금융상품으로 소개된다”며 “외화보험은 환테크를 위한 금융상품이 아니고 계약해지 외에는 환율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만한 방안이 마땅치 않기 때문에 이 점에 대해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올해 5월 말까지 외화보험 누적 판매 건수는 14만 600건, 3조 8000억원 규모다. 이 중 최근 1년 동안 5만건 이상이 판매됐다. 상품 종류는 연금·저축·변액·종신 등으로 다양하고 주로 은행창구 또는 보험설계사를 통해 판매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