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 우리나라 60세 이상 고령자의 보험 가입율(보유율)은 60세 미만보다 매우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60세 이상 고령자는 의료비 관련 보험혜택을 60세 미만보다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험개발원(원장 김수봉)이 20일 보험통계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보험개발원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60세 이상 고령층은 보장성보험과 연금보험의 가입률이 저조해 보험을 활용한 노후대비가 부족했다. 또 보험을 보유중인 고령층도 노후대비에 적절한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지 않았다.
보험 종목별로, 실손보험 가입율이 60세 미만은 64.7%로 기록됐지만 60세 이상은 17%로 47.8%포인트의 차이를 보였다. 생명보험의 경우 60세 이상과 60세 미만의 차이가 19%포인트, 장기손해보험은 37%포인트의 차이를 보였다.
성별로는 남자보다는 여자의 차이가 더 컸다. 60세 미만과 60세 이상의 생명·장기·실손보험 가입률 차이는 각각 21.7%포인트, 40.8%포인트, 51.3%포인트를 보였다.
또 60세 이상 중 보험에 가입했더라도 연금이나 중대질병을 보장하는 상품보다는 보험료가 저렴한 상해보험 위주로 구성됐다고 분석했다. 노후대비에 적절한 보험 포트폴리오 구성이 이뤄지지 않은 것이다.
연금보험은 40대의 경우 100명 중 19명(보유비중 18.8%)가량이 연금보험을 보유중이었지만 60세 이상은 11명(10.8%)만 보유했다. 반면 상해보험의 경우는 40대는 100명 중 11명(보유비중 11.5%)에 불과했지만 60세 이상은 24명(24.4%)이 보유했다.
한편, 보험개발원의 결과에 따르면 전체 보험금 수령자 중에서 60세 이상 고령자는 의료비 관련 보험혜택을 60세 미만보다 많이 받고 있다. 전체 수령자 중 60세 이상 수령자 비중은 생명보험의 경우 2010년 8.8%에서 2013년 11.8%로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장기보험도 4.5%에서 7.8%로 증가했다.
또한, 60세 이상은 보험가입자 10만명당 보험금 수령자가 1만1487명으로 60세 미만(1만248명)보다 12% 더 많다. 보험금 수령자 1인당 보험금액 또한 60세 미만보다 26% 더 높은 수준이었다.
보험개발원 관계자는 "다가오는 고령화 시대에 개인 스스로의 노후준비 중요성이 점차 늘고 있다"며 "보험에 가입돼있는 경우 노후에 필요한 보장을 추가하고 보장기간 또한 충분히 설정해 보험을 적절히 활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