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네이버가 수퍼 컴퓨터를 구축하고, AI 기술 경쟁력 강화에 나섭니다. 8일 네이버에 따르면 국내 민간기업 최초로 수퍼 컴퓨터를 도입합니다.
앞서 네이버는 독자적인 AI 플랫폼 ‘클로바’를 구축하고, 음성 인식 및 합성, 이미지·영상 분석, 자연어 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AI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한국, 일본, 유럽, 베트남 등을 잇는 글로벌 AI 연구 벨트를 조성하며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나가고 있습니다.
여기에 네이버는 한국어, 일본어에 대한 초거대 언어모델을 구축할 계획입니다. 초거대 언어모델은 보다 자연스러운 언어처리가 가능해 AI 기술 수준을 한층 더 끌어올릴 수 있지만, 이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방대한 데이터 뿐 아니라 이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슈퍼 컴퓨터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게 네이버측 설명입니다.
네이버는 “검색, 메신저 등으로 확보한 방대한 데이터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700 페타플롭 이상의 성능을 갖춘 국내 최고 수준이자 글로벌에서 손꼽힐 수 있는 수퍼 컴퓨터를 구축한다”며 “‘GPT-3’를 능가할 한국어, 일본어의 초거대 언어 모델을 만들어간다는 방침이다”고 설명했습니다.
네이버는 영어 외 언어 중에서 최초로 초거대 언어모델을 한국어, 일본어로 구축할 예정입니다. AI 기술 연구에 새로운 장을 열어갈뿐만 아니라 한-일 사용자,사업자 등에게 새로운 서비스 경험과 사업 기회를 제공해나갈 계획입니다.
정석근 네이버 클로바 CIC 대표는 “네이버 클로바는 네이버, 라인 등의 서비스로, 방대한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초거대 언어모델을 구축, 기업과 개인 창작자까지 사업과 창작에 더욱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도구를 만들어가고자 한다”며 “네이버는 AI 기술 연구개발에 필요한 인프라와 다양한 인재를 지속 확충하며 글로벌 AI 기술 트렌드를 선도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