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안정호 기자ㅣ정부의 초대형 주택 공급 대책에도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세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전세난 회피 수요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주택 매매로 돌아서면서 경기·인천의 집값 상승이 수도권 강세를 주도하고 있는 것입니다.
2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주(22일 기준) 수도권 아파트값은 0.31% 올라 전주 0.30%에서 상승 폭을 키웠습니다.
지난해 11월 0.15∼0.18%, 12월 0.18∼0.23% 수준이었던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률은 올해 1월 1주 0.26%에서 1월 4주 0.33%까지 올라 부동산원이 해당 조사를 시작한 2012년 5월 이후 가장 높았습니다.
역대 최고 상승률(0.33%)은 1월 4주부터 3주 연속 이어졌고, 2월 3주 0.30%로 잠시 내려갔으나 지난주 다시 0.31%로 소폭 반등한 것입니다.
정부가 2·4 공급대책 발표로 공급 확대 의지를 밝힌 이후에도 최근까지 0.30% 넘는 높은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수도권 아파트값은 올해 들어 지난주까지 총 2.46%(주간 누적) 상승했습니다. 서울이 같은 기간 0.68% 오르는 데 그쳤으나 인천이 2.82%, 경기가 3.42% 오르면서 수도권 집값을 견인했습니다.
경기에서 올해 가장 높은 상승률을 나타낸 곳은 양주시로, 8.56% 올라 8주 만에 작년 상승률(4.19%)의 2배 넘게 올랐습니다.
양주시 집값은 작년 말 GTX C노선 사업계획이 정부 민간투자사업심의위를 통과하면서 폭등하기 시작했습니다. 양주에는 GTX-C노선 덕정역이 들어섭니다.
양주 덕정동 봉우마을 주공5단지 전용면적 59.47㎡의 경우 작년 12월 1억7000만∼2억2000만원에 거래됐던 것이 이달 9일 2억7500만원(5층)에 신고가로 거래되면서 한 달 사이 최고 1억원 넘게 올랐습니다.
서울 인접 지역과 앞으로 서울 접근성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되는 ‘GTX(광역급행철도) 라인’을 중심으로 매수세가 몰리고 가격도 오르고 있는 것입니다.
양주에 이어 GTX C노선 정차 기대감이 있는 의왕시가 7.06% 올랐고, 남양주시(6.58%), 고양시(6.53%), 의정부시(5.58%) 등의 순으로 상승률이 높았습니다. 남양주시에는 GTX B노선이, 고양시에는 GTX A노선이, 의정부시에는 GTX C노선이 각각 지납니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정부의 경기도 광명·시흥 7만 가구 공급 대책이 집값을 진정시킬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임병철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공급 물량 자체가 많고 3기 신도시 등 대규모 택지 개발 지역 중에도 서울 접근성이 좋은 곳이 많기 때문에 계획대로 공급된다면 서울 집값 등 시장 안정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했습니다.